사설·칼럼 사설

[fn사설] 김범수 5조 기부, 법·제도 장벽부터 손질하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09 18:00

수정 2021.02.09 18:04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8일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를 위해 쓰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교육, 일자리, 복지, 환경분야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8일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를 위해 쓰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교육, 일자리, 복지, 환경분야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8일 재산 절반 이상을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흙수저 출신으로 전형적인 자수성가 기업인이다.
카카오는 코스피 시가총액 10위권이다. 계열사만 100여개로 재계 23위다. 김 의장은 전체 카카오 지분의 24.95%를 갖고 있다. 개인 명의 카카오 지분(13.74%)에다 김 의장 소유의 지주사 케이큐브홀딩스가 가진 카카오 지분(11.21%)을 합친 몫이다. 지분 가치만 10조원이 넘는다. 절반 이상이면 5조원을 넘는다.

김 의장은 기부금 용도로 '사회문제 해결'을 꼽았다. 그는 꽤 오랫동안 '기업의 선한 의지'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봤다. 지난해 3월 카카오톡 출시 10주년을 맞아 공개한 영상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보더라도 카카오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아직 미흡하다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김 의장이 재단 형식을 빌려 일자리·복지·환경·교육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미래형 인재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본다.

글로벌 슈퍼리치의 기부 사례는 많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재산 90% 기부를 약속했다. 아내 멜린다 게이츠와 지난 2000년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을 세워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은 전 재산 85%를 기부했다. 게이츠와 버핏은 의기투합해 2010년부터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기빙 플레지' 운동을 펼쳤다. 이 둘의 롤모델은 미국 기업가 척 피니(89)다. 거의 전 재산을 기부해 자기 명의 집도 차도 없어 '빈손의 억만장자'로 불린다. 거슬러 올라가면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와 석유왕 존 록펠러도 대표적 박애주의자다.

김범수의 통큰 기부는 최근 재계에 불어닥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도 일맥상통한다. 김 의장은 자수성가한 벤처 1세대다. 이해진(네이버)·김정주(넥슨)·김택진(엔씨소프트)도 마찬가지다.
이번 도전이 새로운 한국형 부자모델로 정착되길 바란다. 정부와 국회도 부자 재산을 공동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길을 넓혀주기 바란다.
그래야 제2, 제3의 김범수가 연달아 나올 수 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