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네이버·카카오가 新기업문화 창출 선도하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26 15:18

수정 2021.02.26 15:18

[파이낸셜뉴스]
네이버와 카카오가 2월25일 이해진 창업주와 김범수 의장이 참석한 가운데 각각 사내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직원들과의 소통에 나섰다. 사진은 이날 오후 카카오 사내 간담회 '브라이언톡 애프터'에 참석한 카카오 임직원들의 모습. /뉴스1
네이버와 카카오가 2월25일 이해진 창업주와 김범수 의장이 참석한 가운데 각각 사내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직원들과의 소통에 나섰다. 사진은 이날 오후 카카오 사내 간담회 '브라이언톡 애프터'에 참석한 카카오 임직원들의 모습. /뉴스1

빅테크 네이버·카카오가 동시에 직원들과 소통에 나섰다.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와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25일 열린 온라인 대화에 각자 참석했다. 이런저런 현안을 놓고 격의없이 소통하자는 취지에서다. 결론적으로 양사 간담회 이후 직원들 불만은 사그라지기는 커녕 오히려 더 불이 붙은 모양새다.


요즘 양사 직원들은 단단히 뿔이 났다. 우선 네이버 직원들은 성과급 산정·지급 기준에 불만이 많다. 회사가 엄청난 수익을 내고도 정작 직원 성과급은 짜게 매긴다는 게 이유다. 이에 회사측은 직원1인당 약 1900만원 차익이 실현되는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보상을 앞세워 설득에 나섰다. 하지만 네이버노조는 구체적인 성과급 개선 대안이 없다며 반발했다.

카카오도 비슷하다. 직원들은 "불합리한 인사평가 기준 개선을 요구했지만 알맹이가 없었다"고 혹평했다. 대신 김범수 의장은 카카오가 네이버보다 연봉은 적지만 스톡옵션은 더 나갔다고 강조했다. 이해진·김범수 둘 다 스톡옵션을 앞세워 내부불만을 조금이라도 누그러뜨리고자 한 것 같다.

이렇듯 아무리 격의 없는 소통이라도 갑(창업주)과 을(직원)간 자리는 늘 부담스럽다. 같은 사안을 보는 눈높이가 다르고, 서로가 쥔 카드도 다르기 때문이다. 양사 직원들은 두 총수가 핵심은 피하고 하고 싶은 얘기만 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두 총수가 강조한 스톡옵션은 분명 직원들에게 당근일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다양한 현안에 대해 더 귀를 열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한 술에 배부를 순 없다. 창업주가 직원들과 허물없는 대화를 통해 갈등을 좁히려는 시도 자체만도 반가운 일이다. 특히 한국처럼 노·사갈등이 심한 나라에서는 더 그렇다. 노·사가 매번 서로 잡아먹을듯이 덤비고 싸운다면 서로 득될 게 없다.

이해진·김범수는 흙수저 출신 벤처1세대다. 누구보다 소통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한다. 둘은 평소에도 직원들과 허물없이 지내는 걸로 정평이 나 있다. 이런 자유로운 소통문화가 지금의 네이버·카카오를 키운 게 사실이다.
이 중 김범수 의장은 이달 초 자신의 재산 절반(약 5조원) 이상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했다. 또 카카오는 25일 주식을 5대 1로 액면분할했다.
통상 액면분할은 일반 투자자 접근성을 높여 회사 가치를 올릴 때 한다. 앞으로 소통과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경영 리더십이 재계 전반으로 퍼져나가길 바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