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37년만에 '脫통신' 속도내는 SKT…"신사업·반도체투자 강화" [SKT 지배구조 개편]

김아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4.14 18:18

수정 2021.04.14 18:18

미래성장 가속·주주가치 제고 목적
통신, 5G기반 AI 등 신사업 확장
반도체, IPO 적극추진 투자 강화
신설회사와 ㈜SK 합병 안하기로
37년만에 '脫통신' 속도내는 SKT…"신사업·반도체투자 강화" [SKT 지배구조 개편]
SK텔레콤이 1984년 설립 이후 37년 만에 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기업분할에 나선 것은 통신과 더불어 반도체, 뉴 정보통신기술(ICT) 자산을 시장에서 온전히 평가받아 미래 성장을 가속화하고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데 취지가 있다.

이번 기업분할로 SKT는 통신 영역을 넘어 인공지능(AI), 반도체, 미디어, 보안, 커머스 등 뉴 ICT 사업을 본격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다양한 ICT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한 '제3의 창업'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손자회사인 SK하이닉스는 100% 경영권 투자만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중간지주사인 'ICT 투자전문회사'가 직접 투자에 나설 수 있으므로 기존보다 반도체 사업 투자가 수월해질 전망이다. 과거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구 도시바메모리) 투자,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를 진행했을 때보다 더욱 활발한 투자가 예상된다.

■구글·아마존처럼 신사업 중심 조직

박정호 SKT 대표는 14일 지배구조 개편 방안 설명회에서 "지금까지 구성원들의 노력으로 잘 키워온 SK텔레콤의 자산을 온전히 평가받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시점"이라며 "분할 후에도 각 회사의 지향점에 따라 계속 성장하는 회사를 만들자"고 강조했다.
이에 'ICT 투자전문회사'는 SK하이닉스를 포함한 자회사들의 배당수익과 기업공개(IPO) 등을 통해 투자 재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즉, '수익창출-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SKT가 본업인 통신에서 반도체, 뉴 ICT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이유는 아마존과 구글의 혁신 과정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도 기존의 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타 기업보다 앞서 신사업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함으로써 한 단계 도약했다.

1994년 인터넷 도서판매 업체로 시작해 최대 전자 상거래 기업으로 탈바꿈한 아마존은 제프 베이조스를 포함한 경영진이 본업인 e커머스 사업이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올랐을 때 클라우드 사업 아마존웹서비스(AWS)에 적극 투자했다. 구글은 2015년 당시 검색엔진, 안드로이드 등 핵심 사업을 포함해 파이버(고속인터넷), 구글벤처스, 구글캐피털, 구글X(자율주행), 네스트(가정용 스마트기기) 등 다양한 ICT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지주회사 알파벳을 출범하고 산하에 주력 기업인 구글과 신성장 기업군으로 나눠 자회사의 편제를 재정비했다.

■규제 vs 비규제로 나눈다

SKT의 30여개에 이르는 자회사 재배치는 전통적으로 정부의 규제 틀 안에 있는 방송통신 영역과 규제에서 자유롭고 향후 투자 유치는 물론 IPO까지 추진할 수 있는 신산업으로 구분될 것으로 전망된다.

SKT 존속회사 밑에는 SK브로드밴드를 비롯해 알뜰폰(MVNO) 사업을 영위하는 SK텔링크, T커머스 사업자 SK스토아, 플로 등이 위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자회사는 방송통신 영역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감독 아래 있다. SKT의 자회사 드림어스 컴퍼니가 운영 중인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플로도 통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구독형서비스로 이에 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ICT 투자전문회사 밑으로 가는 자회사는 투자 재원 확보가 최우선 가치로 꼽힌다. 11번가, ADT캡스, 원스토어, 티맵모빌리티, 웨이브가 옮겨갈 것으로 예측된다. 11번가는 e커머스 사업자로 정부 규제가 없으며 아마존으로부터 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이베이코리아 인수 이슈도 존재한다. ADT캡스는 지난달 SK인포섹과 합병을 완료하고 통합법인으로 출범했다. ADT캡스는 기업가치 5조원 규모의 보안전문기업으로 성장해 IPO를 추진할 방침이다. 원스토어는 SK텔레콤, 네이버, 재무적투자자, KT, LG유플러스 등으로 주주가 구성돼 있다. 원스토어는 올해 중으로 IPO가 진행될 계획이다.


티맵모빌리티는 최근 국내외 사모펀드(PEF)로부터 400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우버로부터는 5000만달러(약 591억원)를 투자받았는데, 당시 책정된 기업가치가 1조원에 이른다.
웨이브의 경우는 방송으로 볼 수 있지만 규제가 없는 온라인동영상(OTT) 사업자다.

true@fnnews.com 김아름 서영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