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공공재' 외치지만 협력은 없어… 백신 공급국가 보면 G2 '속내' 보인다 [글로벌 리포트]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5.02 17:40

수정 2021.05.02 17:40

【파이낸셜뉴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 미국과 중국이 코로나19 백신을 놓고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경쟁을 펼치는 것은 패권전쟁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부터 본격화된 마찰이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선 백신을 무기화해 신경전을 벌이는 형국으로 확장된 것이다.

우선 미국의 전략은 '반중국' 연대로 요약된다. 전 정권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세계 전체를 적으로 돌리는 실수를 범했고 이로 인해 대중국 압박이 기대했던 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따라서 미국은 우호국·동맹국 결집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꺼내 들었다.

미국은 신장위구르자치구나 홍콩 등의 인권 문제의 경우 유럽, 영국과 공감대를 형성해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홍콩 선거법 개정안에 대해 미국 등 서방국가는 잇따라 '보복 조치'를 경고했으며 신장 인권 문제 역시 이 지역에서 생산된 원료나 제품 사용 중단으로 공격했다.

조 바이든 정부가 들어선 이후부턴 반중국 견제는 보다 직접적으로 표현된다. 구성 자체가 대중국 견제가 목적인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와 미·일 대중국 공동성명 등이 이런 형태로 전개됐다.

백신도 유사하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전략은 '백신'이므로 백신 공급과 함께 상대국에 중국 포위망 형성에 동참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당장 급한 불부터 꺼야 하는 백신 미개발국 입장에서 미국산 백신 공급은 미·중 사이에서 전략적 모호성을 버릴 수도 있는 카드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크다.


중국도 미국 등 서방국가에 맞선 우호세력을 형성하는 데 백신을 활용하는 중이다. 중국은 표면적으론 중국산 백신을 세계적 공공재라고 홍보하지만 백신 공급 국가들을 보면 주로 시진핑 국가주석의 핵심 정책인 일대일로(육·해상 신실크로드)에 동참하는 국가들로 이뤄져 있다.
결국 미·중 양국 모두 패권 공고화나 장악을 위해 경제, 군사, 우주 등에 이어 백신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