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저축은행도 "핀테크 중심 대출 갈아타기 반대"

윤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07 18:11

수정 2021.07.07 18:11

"핀테크 수수료 이익만 더 늘릴것
은행 주도 공동플랫폼 운영해야"
대출받은지 6개월 안된 차주는
대환대출 못하게 기준마련 요구도
시중 은행들에 이어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도 핀테크 대환대출(대출갈아타기) 플랫폼 참여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2금융권은 시중은행들보다 더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금융권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만들 경우 이 곳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이는 대환대출 서비스를 핀테크 플랫폼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2금융권의 반발로 분석된다.

이에따라 금융당국은 오는 12일 5대 대형 저축은행 임원진을 만나 대출환대출과 관련된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는 최근 대환대출 플랫폼 운영과 관련한 두 가지 건의사항을 금융당국에 제출했다.


현재 금융당국과 금융결제원은 오는 10월 서비스를 목표로 비대면 대환대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중 은행을 비롯해 카드사, 캐피탈,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모든 대출 상품을 한 눈에 비교해 손쉽게 갈아탈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는 것. 현재 핀테크 업체 10여가 대환대출 플랫폼을 운영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들과 2금융권은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저축은행들도 1금융권과 마찬가지로 토스나 카카오페이 등 대환대출 플랫폼을 운영할 핀테크에 지급해야 하는 '판매 수수료'를 문제삼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이미 핀테크 업체가 운영중인 대출 비교 서비스 등을 통해 대출이 이뤄지면 핀테크측에 대출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내는 상황에서 이중으로 제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핀테크 업체들이 운영하는 대출상품 플랫폼에서도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은 수수료율도 높았고 상품도 제대로 올려주지 않는 등 홀대를 받았다"며 "대환대출 플랫폼 역시 비슷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6일 시중은행과 금융위원회의 간담회에서도 수수료 문제가 지적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들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대출들의 경우 너무 잦은 대환 이동으로 자칫 핀테크업체 수수료만 계속 은행들이 부담해야하는 경우도 생길수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저축은행들은 또 플랫폼을 통해 대환대출이 가능한 차주 범위를 정해달라는 방안도 당국에 건의했다. 대출받은 지 6개월이 지난 차주만 이용가능하게 해달라는 취지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대출받은 지 6개월이 지나지 않은 차주가 또 대환대출을 이용하게 되면 결국 저축은행은 수수료를 이중으로 내야하기 때문에 적자"라며 "모두가 상생하는 대환대출 플랫폼 취지가 무색해지지 않겠냐"고 지적했다.

시중은행들과 저축은행들은 범은행권 플랫폼 구축을 금융당국에 요청한 상태다.

특히 저축은행 업계가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이미 저축은행업계는 핀테크 주도가 아닌 금융당국 등 공공이 운영하는 대환 대출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당국에 전달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미 핀테크 등이 플랫폼 시장 주도권을 쥐고 있는 상황에서 당국이 주도하는 플랫폼 마저 이들이 참여하는 건 결국 핀테크들만 좋아진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시중은행들과의 간담회에서 은행들의 지적 사항을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살펴보고 핀테크 업체들도 만나 은행들의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자 예비 12곳에 대해서도 자격이 있는지 심사후 선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병철 윤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