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국정원 "北, 최근 영변 원자로 가동.. 종이 없어 임시화폐 발행"

김나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0.28 18:07

수정 2021.10.28 18:07

28일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
국정원 "상반기 영변 재처리 시설 가동 징후"
"핵능력 강화·영변 전략적 가치 강화 포석"
"북중 무역, 전년比 3분의 1.. 민생경제 심각"
"대외교역 확대.. 육로 통한 화물운송도 추진"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김경협 국회 정보위원장이 28일 국정원 청사에서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를 주재하고 있다. 2021.10.27.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김경협 국회 정보위원장이 28일 국정원 청사에서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를 주재하고 있다. 2021.10.27.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2018년 이후 3년 만에 영변 원자로를 재가동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국가정보원이 28일 밝혔다. 핵 능력을 강화하는 한편 영변의 전략적 가치를 부각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난이 심해진 가운데 북한은 북중 무역재개 등 대외교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원 국감 이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김 의원은 "국정원은 2018년 말 가동 중단됐던 영변 5㎿ 원자로가 최근 재가동한 정황을 포착했다"며 "영변 재처리 시설은 올해 상반기 2~7월 가동 징후가 식별됐고, 핵연료봉 재처리 작업을 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영변 핵시설 가동을 "플루토늄 추가 확보를 통해 핵 능력을 강화와 동시에 영변이 전략적 가치가 있다는 걸 부각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보고 있다. 북·미 비핵화 협상에서 영변을 유효한 지렛대로 활용하려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만 풍계리 핵실험장은 여전히 방치된 상태로, 북한이 유효 협상수단으로 영변 시설의 가치를 높여가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 9월 발사한 지대공 미사일을 개발 중이며, 운용 가능성 확보를 목적으로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는 게 국정원 판단이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경우 무기박람회에서 3종이 공개됐는데 국정원은 북한이 SLBM 완성 상황도 단기간에 공개하려 했다고 보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28일 국정원에서 열린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에 출석하고 있다. 2021.10.28/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28일 국정원에서 열린 정보위원회의 국정원 국정감사에 출석하고 있다. 2021.10.28/뉴스1
북한의 내부 사정은 민생 경제가 특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조폐와 특수잉크가 없어 임시 화폐를 발행할 정도로 경제가 어렵다. 지난 8월 북한 비료생산 2위 공장이 과부하로 폭발하는 등 사고도 빈발하고 있다. 소독약 부족으로 장티푸스 등 전염병이 도는 상황이다.

하태경 의원은 "올해 북중 무역액이 8월까지 1억 8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3분의 1 수준"이라며 "9월 교역량도 2019년 동기 대비 29%에 불과해 물가가 높은 상황이 여전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북한 물자 부족이 심각해져 대외 교역을 확대하고 있다"며 "7월부터 선박 운항이 늘었고 8월부터는 의료 및 방역 물자 반입을 허용하는 상태"라고 보고했다. 최대 무역항 남포항은 포화 상태로, 평북 용천항을 북중 교역 통로로 추가 개항했다는 게 국정원 설명이다. 열차를 이용한 화물운송도 재개를 추진 중이며, 중국-러시아와 운행 계획을 협의 중이다. 국정원은 단둥-신의주 열차는 11월부터 재개할 것으로 본다.

이런 가운데 식량 상황은 다소 나아지는 중이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식량난 타개를 위해 전군, 전민 총동원 체제를 돌입해 지난 20일께 벼 추수를 완료했다. 올해 작황은 지난해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국정원은 북한이 탐색전을 끝내고 무력시위 및 담화전을 전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종전선언과 관련, 북한은 한미연합훈련 폐지, 제재 해제 및 석유 수입 허용 등을 선결 조건으로 제시한 바 있다.

한편 박지원 국정원장은 이날 보고에 앞서 "정치권에서 이름이 거론돼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송구스럽다.
국민 여러분께 사죄드린다"고 사과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