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인플레 공포’ 긴장한 중앙은행들, 금리 올려 돈줄 죈다 [전세계 긴축 시그널]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1.02 18:10

수정 2021.11.02 18:10

美 연준, 이달 테이퍼링 가능성
물가상황 따라 내년말 금리인상
캐나다·英 등 양적완화 거둬들여
中도 부동산 거품 더 커질까 신중
한은, 내년 1월까지 금리 올릴 듯
내년 하반기 1.5%까지 갈수도
‘인플레 공포’ 긴장한 중앙은행들, 금리 올려 돈줄 죈다 [전세계 긴축 시그널]
【파이낸셜뉴스 서울·베이징=박종원 연지안 기자 정지우 특파원】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해 앞다퉈 시장에 돈을 풀었던 주요 중앙은행들이 '위드코로나' 확산 속에서 다시 돈줄 죄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20개월 이상 '제로 금리' 정책을 유지해왔던 미국부터 공식적으로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 일정을 이번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영국과 캐나다, 한국까지 잇따라 금리인상으로 시장에 흘러드는 돈을 줄일 전망이다.

미 연준은 2~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가진 뒤 테이퍼링 일정을 공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만약 연준이 물가상승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면 금리인상 시기가 2022년 하반기로 당겨질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반년 이상 미뤄진 미국의 테이퍼링 시기 발표가 이뤄지면 전 세계 중앙은행들도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금리대책을 속속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시장에 흘러드는 자금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부터 양적완화를 진행했던 캐나다는 지난 4월에 선진국 가운데 처음으로 테이퍼링을 선언했으며 지난달 27일에는 역시 선진국 최초로 양적완화를 중단했다. 같은 날 브라질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6.25%에서 7.75%로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렸다.

두 국가 모두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을 버틸 수 없는 상황이다. 영국 역시 현재 0.1% 수준인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연말까지 양적완화를 종료할 것으로 추정되며 4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공식적인 일정을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 또한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금리를 기존 0.5%에서 0.25%p 인상했고 오는 2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 내년 1월에도 연이어 금리를 인상한다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이럴 경우 현재 0.75%로 인상된 금리는 연내 1%대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고 내년에는 1% 중반에 이를 수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리 결정에 대해 시기나 폭을 제한하지 않고 경제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한다는 의미로 금리인상 폭과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예상이다.

다만 중국, 일본, 유로존(유로 사용 19개국)에서는 금리인상에 여전히 관망세다. 일본은 낮은 물가와 장기화된 경기 둔화세를 더욱 끌어올리기 위해서 당장 금리인상에 부정적이다.

유로존을 관할하는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달 29일 회의에서 0% 수준의 기준금리와 양적완화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당시 발표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인 2%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정책을 당분간 바꾸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팬데믹을 비교적 빨리 극복한 중국은 경기부양을 의식하면서도 돈을 풀었다가 가뜩이나 위험한 부동산시장의 거품이 더 커질까 걱정하는 분위기다.

최근 심각해진 에너지 수요 급증도 신경 써야 한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달 경기둔화 우려에도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18개월 연속 동결했다.


인민은행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은행 지급준비율(지준율)을 낮춰 금융기관의 대출 능력을 풀어주거나 정책금리를 변경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다만 공개시장 운영과 중기 대출시설 확대로 제한적 유동성 공급에 나설 수는 있다.


중국 금융소식통은 "시중에서도 금리나 지준율 추가 인하 등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았는데, 이는 (인민은행이) 중장기적으로 현재 상황을 본다는 것"이라면서 "녹색금융 확대 등의 정책수단은 앞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pjw@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