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아동‧청소년 21% 디지털성범죄 직접위험 노출"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1.30 11:15

수정 2021.11.30 11:15

/사진=뉴스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초·중·고교생 5명 중 1명은 채팅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한 '디지털 성범죄'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됐다는 조사결가가 나왔다.

서울시는 인터넷 이용현황 및 디지털 성범죄 피해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여성가족재단이 서울시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12~19세의 아동·청소년 4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11월 30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7월 6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됐다.

조사결과를 보면 아동·청소년의 21.3%(856명)가 채팅이나 SNS 등의 디지털 성범죄에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아동·청소년 가운데 가장 많은 56.4%는 성적 메시지나 성적인 사진을 전송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온라인에서 일방적으로 계속 연락을 하고 만남을 요구받은 적은 27.2%였다.
성적 이미지가 유포되거나 유포 협박을 받은 경우도 4.8%, '성적인 사진이나 성관계를 해주면 돈을 주겠다'는 제안을 받은 경우도 4.3%에 이르렀다.

서울시는 "아동·청소년들이 온라인을 원하는 정보를 구하면서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터'로 생각하고 익명성이 보장된다고 믿어지는 온라인의 특성 때문에 아동·청소년들이 디지털 성범죄에 쉽게 노출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아동·청소년이 모르는 사람과 인터넷을 통해 친해진 경험은 41.4%에 이르렀고, 실제로 만난 경험은 13.9%였다. 아동·청소년은 인터넷에서 만난 사람과 고민을 나누고(44.7%), 학교 친구들보다 더 가깝게 느꼈으며(10.9%), 서로 사랑하는 사이(2.5%)라고 느꼈다.

또 아동·청소년은 인터넷에서 성적인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무분별하게 접하게 되는데 처음 접한 시기는 초등학교 6학년이 23%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는 "최근 코로나19로 아동·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서 미성년자를 노린 디지털 성범죄 노출위험도 커지고 있다"며 "가해자가 개인정보를 협박 수단으로 삼아 사진이나 영상물을 착취하는 '온라인 그루밍'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대응은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에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아동·청소년은 27.5%로 가장 많았다. 대응하지 않은 이유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대응정보 및 주변 자원부족)'가 78.5%로 가장 높았다. 여성 아동·청소년의 47.6%는 '피해 촬영물이 온라인에 퍼지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는 아동·청소년 피해자 지원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또 '서울특별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통합지원기관'을 내년 신설해 운영할 계획이다. 예방활동부터 전문가 상담은 물론,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피해 촬영물의 삭제 지원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아동·청소년 세대는 어릴 때부터 디지털 문화에 익숙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까지 많아지면서 디지털 범죄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실정"이라며 "서울시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통합지원기관 설치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 예방부터 삭제지원까지 통합적인 피해자 지원체계를 갖춘 '디지털성범죄 없는 안심 서울'의 토대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