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창립 18주년 맞은 부산항만공사 "물동량 증가세 유지".."실속없는 장사" 개선 지적도

노주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1.15 21:33

수정 2022.01.15 21:33

컨테이너 화물 하역과 선적에 여념이 없는 부산항 북항에 위치한 한 컨테이너 터미널. 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컨테이너 화물 하역과 선적에 여념이 없는 부산항 북항에 위치한 한 컨테이너 터미널. 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파이낸셜뉴스] 부산항을 관리·운영하는 부산항만공사(BPA·사장 강준석)가 창립 18주년을 맞았다.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우리나라 최초 항만 공기업으로 닻을 올렸다. 부산항 관리·운영을 정부에서 공기업 체계로 전환한 것으로 항만 운영에 민간 경영기법과 책임경영체제를 도입해 효율성과 경쟁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물류 허브항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이었다.

부산항만공사는 창립일에 맞춘 보도자료를 통해 "출범 이후 부산항을 운영한 지난 18년 동안 비약적 성장과 발전을 이뤄 냈다"고 자평했다.

2004년 임직원 106명, 자산 3조 4556억원, 예산 1434억원으로 출범해 지난해 임직원은 2.6배 늘어난 272명이 됐고 자산은 2배 증가한 6조9397억원, 예산은 8.9배 늘어나 1조2748억원이 편성됐다는 것이다.

그동안 조직은 3본부 15개 부서에서 3본부 2사업단 25개 부서로 확대됐다.
일본, 중국, 유럽, 미국, 베트남 등 전략적 해외 거점에 다섯개 대표부를 운영해 글로벌 항만 공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했다.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04년 1041만TEU에서 2270만TEU를 처리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사상 초유 코로나19 글로벌 물류 대란 사태 속에서 환적물량 처리량도 2% 늘어난 1229만TEU를 기록, 세계 2위 환적항의 위상을 지켰다고 했다. 환적화물 처리에 따른 부가가치는 2004년 5015억원에서 2021년 1조8545억원(환적 1TEU당 약 15만원)으로 3.7배 증가해 경제적 창출 효과가 컸다는 것이 BPA 측의 설명이다.

이밖에 항만시설 측면에서 부산항 컨테이너 선석 수가 2004년 20개 정도였으나 현재 총 49개로 개발·운영되고 있다. 컨테이너 선박 접안시설 길이 또한 2004년 5.7km에서 2021년 12.7km로 2.2배로 증가했다.

무엇보다 대형 선박(5만t급 이상) 입항 척수가 2004년 1691척에서 2021년 3585척으로 112% 늘어나 초대형 선박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항만시설을 갖추게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산항만공사가 항만을 관리·운영하면서 업계 기대와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부문도 많다는 지적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외국계에 장악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에 있어 영향력을 제대로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다 항만 물동량 증가라는 수치 맞추기에만 급급한 나머지 외국 대형선사들에게 지나친 할인 인센티브 혜택을 부여해 끌려다니는 실속없고 편한 영업만 추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도 받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를 시행을 맡고 있는 국내 최초 항만재개발사업이자 한국형 뉴딜 국책사업인 북항재개발사업도 2008년 첫 삽을 뜬 이후 기대 만큼 속도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주춤주춤해 왔었다. 부산항만공사가 시행을 맡고 있는 153만㎡ 규모에 2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북항재개발사업 1단계 사업의 경우 오는 5월 기반공사 준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도 곳곳에서 파열음을 일으키고 있다.
부산항만공사 강 사장은 "올해 많은 도전과 해결해야 할 여러 큰 과제들 중 부산항 친환경, 안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고객만족경영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신규 항만인프라 확충, 해외사업 물류네트워크 확대, 북항재개발과 같은 주요한 사업을 차질없이 완수될 수 있도록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