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방문해 현장 간담회
"교원 업무 부담, 지역별 격차 개선 요구 있어"
교육부 장관 직무대행인 장 차관은 이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인 서울 용산구 소재 중경고등학교를 방문해 교과 수업 활동 참관 등 운영 상황을 살펴봤다.
이 학교는 지난해 입학생 기준으로 교과 78단위(14개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도록 하며, 신광여고와 환일고 등 인근 학교와 공유캠퍼스를 통해 프로그래밍, 사회과제연구, 디자인드로잉 등 교육과정을 운영 중이다.
장 차관은 이 학교 졸업생과 학부모·교원·전문가 간담회 자리에서 "고교학점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학교 현장 의견 수렴과 정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장 중심의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 차관은 "(고교학점제가) 우리 학생들의 미래교육을 위해 도입돼야 한다는 데 많은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지만 도입 여건 등에 대한 일부의 우려 목소리도 함께 존재한다"며 "교원의 업무 부담에 대한 우려, 학교가 소재한 지역에 따라 교육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 등 학교에서의 개선 요구가 있다"고 말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듣고 일정 이수학점을 충족하는 제도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고 진로·학업 설계를 지원하는 취지를 갖고 있다.
교육부는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20년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시작으로 올해 특성화고에 고교학점제를 도입했으며, 오는 2025년에는 모든 고등학교에 전면 적용된다는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중간·기말고사 등 내신성적 평가 방식이 성취평가제(절대평가)로 변경되기 때문에 미래형 대입제도 개편 역시 맞물린 제도다.
교원단체 등 교육계에서 선택과목이나 과목별 교사 수급 등 현장 부족, 입시제도 상충 등을 이유로 추진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됐지만,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를 통해 고교학점제 추진 점검 및 보완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