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민수 기자,이서영 기자 = 에콰도르가 유가 인상 등 경제 정책에 반발하는 시위가 격화되자 일부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기예르모 라소 에콰도르 대통령은 "우리의 수도와 국가를 지키는데 전념하고 있다"며 수도인 키토를 포함해 3개 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에 따라 대통령은 치안 유지를 이유로 군을 동원해 통행을 금지하는 등 시민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에콰도르에서는 지난 13일부터 원주민과 학생, 노동자들이 반정부 시위를 벌여오고있다.
시위대는 수도 키토로 향하는 고속도로를 포함해 전국의 도로를 점거했다.
시위 과정 중 군과 충돌을 빚어 최소 43명이 부상하고 37명이 체포됐다.
라소 대통령은 시위대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이날 에콰도르 극빈곤층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을 소폭 인상하고 국영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부채를 경감하는 안을 내놨다.
산유국인 에콰도르는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으로 유가와 물가 등이 치솟았다.
연료 가격은 2020년 이후 급격히 상승해 경유는 갤런당 1달러에서 1.90달러로, 휘발유는 1.75달러에서 2.55달러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이번 시위를 주도한 에콰도르 원주민연합(CONAIE)은 경유 가격이 1.50달러, 휘발유 가격이 2.10달러로 인하되기를 바라고 있다.
시위대는 휘발유·경유 가격 인하와 영세 농업인 대출 상환 유예, 농산물 적정 가격 보장 등 총 10가지 요구사항을 기예르모 라소 정부에 제시했다.
한편 에콰도르는 인구 1770만면 중 원주민이 전체 인구의 6% 가량인 110만명이지만 과거 몇 차례의 대규모 시위에서 작지 않은 영향력을 과시해 왔다.
1997년과 2000년, 2005년 세 명의 에콰도르 전직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중도 퇴진한 것에도 원주민들의 시위가 큰 역할을 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