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이철 기자 = 윤석열 정부 경제 부처 수장들이 19일 첫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국내 경제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경제 관련 부처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첫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는 경제관련 부처들의 위기대응 체제 전환을 위해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편한 것이다.
추 부총리는 지난 15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편하면서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도 증대돼 민생경제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우리 경제상황이 어느 때보다 엄중한 비상시국이며 상당기간 복합위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 경제는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에 달해 13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당분간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가는 곤두박질했다. 지난 17일 코스피 지수는 전날 종가와 비교해 10.48포인트(p)(0.43%) 하락한 2440.93로 마감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15일 28년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는 더욱 커졌다. 이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0%p 인상하는 '빅 스텝'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녹록지 않은 상황에 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제시한 3.1%에서 지난 16일 2.6%로 낮췄다.
이번 비상경제장관회의는 이같은 위기 상황에 대응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회의에서 장관들은 물가 안정을 위한 대응, 최근 농축산물 가격 동향, 최근 유가 동향 등을 공유하고 이와 관련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회의에서 물가 대응 등 추가 정책이 나올지도 주목된다.
일단 정부는 유류세 인하폭을 현행 30%에서 37%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이미 유가가 올라 인하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 강한 조치를 주문해 인하 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매주 회의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관계부처 장관들과 물가·민생·금융·수출·산업활동 등 경제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필요 조치가 적기에 마련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