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강수련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가 오는 20일 위원회 구성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본격적인 전당대회 체제로 돌입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의원이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 그것이 큰 원칙"이라고 밝혀 친명계 의원들의 전략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안규백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전준위는 오는 20일 구성을 완료하고 첫 회의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오는 2024년 총선 공천권을 쥐게 될 당 대표를 비롯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기 위한 전당대회 준비 체제로 본격 돌입하게 된다.
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에선 다양한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다. 그중 친문(친문재인)과 친명(친이재명) 간 대립으로 대표되는 '당내 갈등'이 논란의 중심이다.
범친문계 중진인 설훈 의원이 출마 입장을 밝힌 데 이어 전해철·홍영표 의원 등이 출마를 검토하고 있다.
친명계에선 우원식 의원과 정청래 의원 그리고 이재명 의원의 본인 등판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40대 기수론이 떠오르면서 97그룹(90년대 학번, 70년대생) 강병원·강훈식·박용진·박주민·전재수 의원 등도 주요 주자로 거론되고 있다.
가장 큰 관심은 이재명 의원의 출마 여부다. 친문계를 중심으로 이 의원의 대선·지선 책임론을 제기하는 가운데 친명계는 반발하고 있는 대치 형국이다.
이 의원이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다면 자연스레 친문계, 97그룹 후보들의 단일화 등 '교통정리'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전당대회 핵심으로 꼽히는 룰(rule)을 둔 기싸움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현행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당 대표 선출 시 예비경선에 이어 본투표에서는 전국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를 적용하는데 이를 두고 친문계에서는 현행 유지를, 친명계에선 줄곧 대의원 반영 비율 축소, 권리당원 투표·일반국민 여론조사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규백 위원장이 대의원제 대폭 수정은 당의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고 반대 의사를 내면서도 대의원과 당원 비율의 소폭 조정에 대해선 고민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가운데 이재명 의원 본인이 나서서 여론조사 비중을 높이자는 주장을 일축한 듯한 발언을 해 친명계를 중심으로 태도 변화가 주목된다.
이 의원은 전날 "나라의 주인은 국민, 정당의 주인은 당원으로 정당에서는 당원 의사가 제대로 관철되는 게 중요하다"며 "정당의 주인은 당원, 나라의 주인은 국민. 너무 당연한 원칙이 관철되지 않는다는 건 문제"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당 대표 선거에 여론조사 비중을 높아지는 주장을 일축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현행 룰을 바꾸자는 등 당내 분란을 굳이 일으킬 필요가 없다"며 "현행 룰로도 이 의원이 딱히 불리하지 않다. 다만 이재명 책임론, 최근 검경 수사를 비롯한 갖가지 당내 의견에 대한 경청과 고민의 시간이 필요할 뿐"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의원 측은 재선 의원 그룹을 중심으로 주장하는 '집단지도체제'에는 "이 의원을 구심점으로 힘을 한데 모아도 부족한데 집단지도체제로 가면 예전 '봉숭아학당'의 재현일 뿐"이라고 반발했다.
이런 가운데 전당대회 룰이 빨리 정해져야 세대교체론 등 당내 논의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이에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전준위 구성이 의결돼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될 예정"이라며 "이번 주 예정된 워크숍을 통해 당내 논란과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하고 당이 단합된 형태에서 전당대회를 맞이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