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홍콩의 차기 내각에 미국 정부가 제재한 인사 4명이 들어선다.
홍콩 프리프레스(HKFP)와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존 리 행정장관 당선인은 19일(현지시간) 에릭 찬 행정장관 사무실 주임을 정무 부총리에 임명했고 크리스 탕 보안장관을 유임했다.
이밖에도 경제 사령탑에는 폴 찬 장관이 유임되면서 다음 달 1일 출범하는 홍콩 차기 정부에는 미국의 제재를 받는 인사 4명이 올라서게 됐다.
홍콩 민주화 사태 당시 경찰 조직 최고 수장인 보안국장으로 지내던 존 리 행정장관 당선인도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다.
존 리 당선인은 이날 자신의 내각에 대해 '단결되고 충성스러운 인물들로 구성됐다'고 표현하면서 "시민들에게 진심으로 다가가고 듣고 소통할 것이다. 시민들의 신뢰를 얻는 데 적극적일 것이며, 수요에 맞는 정책을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자신이 임명한 인사들에 대한 제재 해제를 미국에 요청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코웃음을 치면서 제재를 무시할 것이다. 한 국가의 국가 안보를 해치려는 계획은 우리에 의해 좌절됐다. (제재는) 우리가 의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결의를 더욱 확고히 했다"고 답했다.
지난 2020년 국가보안법을 홍콩에 강행했던 캐리 람 행정장관도 미국의 제재로 인해 급여를 현금으로 지급받아왔다고 HKFP는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20년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 재무부는 홍콩의 자치권을 훼손하고 시민들의 표현이나 집회의 자유를 제한한 개인 11명에게 제재를 부과했다. 당시 제재 대상에 오른 이들은 캐리 람 행정장관, 당시 보안장관이었던 리 당선인, 경무처장이었던 크리스 탕과 당시 홍콩 주재 중국 연락판공실 주임이었던 뤄후이닝 등 11명이다.
2020년 6월 30일 홍콩 보안법이 발효되면서 당국은 반(反) 정부 활동을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는데, 이 법안은 외국 세력과의 결탁,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 활동 등을 금지·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하는 기관을 수립하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홍콩보안법은 되레 홍콩 자치권, 시민권과 언론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