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건·사고

"전국 산업단지 입주기업 10곳 중 4곳 휴게실 없어"

뉴스1

입력 2022.06.20 12:02

수정 2022.06.20 12:02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계자들이 20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전국 산업단지 노동자 휴게권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2022.6.20/뉴스1 © News1 이성철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계자들이 20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전국 산업단지 노동자 휴게권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2022.6.20/뉴스1 © News1 이성철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전국 산업단지 입주기업 10곳 중 4곳은 휴게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인 미만 사업장은 50인 미만 사업장보다 휴게실이 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전국 13개 지역 1200여개 산업단지 4036명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휴게실 유무와 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43.8%가 휴게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58.2%, 20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40.6%가 휴게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인 이상 99인 사업장의 37.3%, 100인 이상 299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38%가 휴게실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휴게실이 없는 노동자 중 일부는 야외나 카페 등으로 나가 쉬기도 하지만 대부분(56.1%)은 업무공간에서 눈치를 보며 짬을 내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은 "휴게실이 부족할수록 저임금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 직접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존 휴게실도 좁은 공간, 부족한 개수, 파견 노동자에 대한 차별 등 개선해야할 것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휴게실 요건으로 '쉴 수 있는 분위기'도 중요하다"며 "공동 휴게실은 휴게실 부족, 부족한 시설 등 확인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은 "휴게시설은 건강권뿐만 아니라 노동자 인권의 문제, 차별의 문제"라며 "휴게권은 사용주 마음대로 주고 마는 것이 아닌 당연히 법적으로 누려야 할 권리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고용노동부에 Δ모든 일터에 휴게실 설치 의무화 Δ20인 미만 사업장 휴게실 설치 의무를 제외한 시행령 입법안 철회 Δ산업단지 공동휴게실 설치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