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미국 의회가 이란의 핵합의 복원 협상 결과에 대한 회의감을 나타냈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인 더힐은 19일(현지시간) 이란과의 협상에 대해 보고를 받은 미 상원의원들은 이란이 합의안에 동의할지 여부에 대해 회의감을 보였다면서 이란이 공동행동계획(JCPOA) 복원에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미 상원 외교위원장인 로버트 메넨데스는 "이란의 핵합의 복원 가능성에 낙관하지 않는다. 이란 내부적으로 갈등이 있기 때문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벤 카르딘 외교위원회 상원의원도 "이란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면서 "현 단계에서 이란이 협상을 원하는지 아닌지 불분명하다. 이란 내부에서도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이 이미 제안을 한 만큼, 결과는 이란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공화당 외교위원회의 고위 상원의원 한명은 "협상 전망은 고무적이지 않다"고 말했고 공화당 소속 제임스 리쉬 상원 외교위원장은 "예정대로라면 협상이 2월에 끝났어야 했지만 협상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상원의원은 이란이 핵협상을 대가로 혁명수비대에 내려진 미국의 테러 제재 해제를 요구하고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미 행정부는 JCPOA 2.0에 대해 협상할 용의가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지만 이란 측의 무리한 요구는 이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협상이 임박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란 혁명 수비대는 이란의 이슬람 체계를 수호하는 목적으로 창설됐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2019년 외국 테러 조직(FTO)으로 지정됐다. FTO 명단에 오른 혁명수비대와 거래하는 기업 또는 개인은 미국에서 처벌을 받는 근거가 마련됐다.
한편, 지난해 4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시작한 미국과 이란의 '이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 복원 로드맵 마련을 위한 협상은 핵심 사안에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합의를 맺지 못하고 있다.
JCPOA는 이란과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유엔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및 독일이 2015년 맺은 합의다. 이란의 핵 개발을 제한하는 대신 경제 제재 해제를 약속했지만, 2018년 트럼프 정부가 일방 탈퇴한 바 있다.
여기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이란의 미신고 핵시설 운영 사실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자 이란은 핵시설 감시 카메라를 철거하겠다며 반발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