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터넷/SNS

한상혁 방통위원장, 與 거듭 압박에도 "성실히 맡은 바 임무 수행할 것"

뉴스1

입력 2022.06.20 17:01

수정 2022.06.20 17:01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시상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2022.6.2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2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시상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2022.6.2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이 여당의 거듭된 압박에도 중도 사퇴 의사가 없다는 점을 재차 분명히 했다.

한 위원장은 2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방통위 방송대상 시상식이 끝난 뒤 최근 거취 논란에 대한 질문에 "그런 말씀은 여러 차례 드린 것 같다"며 "최대한 성실히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최근 참석 명단에서 제외된 국무회의와 관련해 "필요한 사안이 있으면 참석해야 될 것"이라며 "방법은 생각을 해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 위원장은 18일 서울지방변호사회 특강을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자신의 거취와 관련해 "대한민국은 법치 국가다. 법의 정신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법률이 정한 국민권익 보호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지난 16일 한 위원장의 농지법 위반 의혹을 제기하며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방송 장악을 위한 치졸한 협박이라며 맞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한 위원장의 거취에 대해 "임기가 있으니 알아서 판단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또 국무회의 배제 논란과 관련해 "국무회의에 필수위원이 아닌 사람이 와서 앉아있다는 것인데, 다른 국무위원이 마음에 있는 얘기 터놓고 비공개 논의하는데 굳이 올 필요 없는 사람까지 와서 회의를 할 필요가 있나 싶다"고 말했다.

방통위원장은 국무위원은 아니지만 장관급 공무원으로 그동안 관례적으로 국무회의에 배석해왔다.
그러나 지난 14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 참석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사퇴를 우회적으로 압박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한 위원장을 겨냥한 국민의힘 측의 사퇴 압력은 연일 이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한상혁 위원장의 임기는 내년 7월까지로, 방통위는 일반 정부 부처와 달리 독립적 운영을 위해 '방통위 설치법'에 따라 위원의 3년 임기를 보장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