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수출부진·금리인상에… 경기 '약화→둔화'로 가는 한국 [강해진 경기침체 경고]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2.07 18:23

수정 2022.12.07 18:23

KDI 12월 경제동향
9월 이후 경기진단 갈수록 암울
제조업 부진에 소비심리도 위축
수출부진·금리인상에… 경기 '약화→둔화'로 가는 한국 [강해진 경기침체 경고]
최근 한국 경제 성장세가 약해지고 있어 향후 경기둔화 가능성이 이전보다 높아졌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수출 감소세가 커진 데다 금리인상으로 가계와 기업의 심리도 악화됐다는 평가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2월 경제동향'에서 "글로벌 경기둔화로 수출부진이 가시화된 가운데 금리인상이 지속되며 가계와 기업의 심리지수가 악화되는 등 향후 경기둔화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우리 경제에 대한 평가는 지난 9월 '경제회복세 약화'로 진단이 부정적으로 돌아선 데 이어 갈수록 어두운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엔 '성장세 약화와 함께 경기둔화 가능성 시사 지표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한 것에서 이달엔 더욱 직접적인 표현을 썼다.

이처럼 암울한 진단이 나온 배경에는 수출부진이 첫손에 꼽힌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14.0% 줄어 10월(-5.7%)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대중국 수출(-25.5%)이 대폭 줄어든 탓이다. 반도체는 29.8% 급감해 4개월 연속 줄었다. 10월 수출물량은 1년 전보다 3.4% 감소하는 등 수출지표가 부정적으로 돌아서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긴축,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지정학적 긴장 장기화 등으로 세계 경기의 하방 압력이 확대되면서 수출부진이 가시화하고 있는 양상이다.

이는 제조업 부진으로 이어져 10월 전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5% 줄었다. 4개월 연속 감소다. 감소 폭으로는 2020년 4월(-1.8%)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제조업을 포함하는 광공업 생산(-1.1%)은 자동차(22.8%)의 높은 증가세에도 ICT(-6.1%), 1차금속(-18.5%), 화학제품(-13.2%) 등의 부진으로 감소 전환했다. 제조업은 평균 가동률(75.1%에서 72.4%)이 급락하고 재고율(122.1%)은 전월(121.4%)에 이어 높은 수준을 지속하며 부진한 모습이다.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지난달 75에서 이달 70으로 내려갔다. 비제조업 업황 BSI도 지난달 77, 이달 76으로 올 들어 최저 수준이다.

소비 회복세는 둔화하는 모습이다.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2% 감소해 두 달 연속 줄었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6.5로 전월(88.8)에 이어 100을 하회했다. 지수가 100보다 아래이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심리가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물가 고공행진도 여전하다. 11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0% 올랐고, 물가의 기조적 흐름이 반영된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도 4.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10월 취업자 수는 9월(70만7000명)과 비슷한 67만7000명 증가하는 등 대면업종 중심으로 생산과 고용 시장은 양호한 흐름을 유지했다. 숙박음식점업(9만4000명에서 15만3000명)의 증가세가 확대됐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부진도 완화됐다. 10월 설비투자는 16.8%, 건설투자는 8.3% 증가율을 기록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달 경제동향과) 전반적인 평가는 비슷한데 경기둔화 가능성을 지난달보다 더 높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