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국가유산청은 국가무형유산 '망건장'(網巾匠) 보유자로 전영인 씨(55)를 인정했다고 9일 밝혔다.
망건은 조선시대 남자들이 갓을 쓰기 전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정리하기 위해 이마에 두른 머리띠이며, 망건장은 망건을 만드는 장인이다.
'망건장'의 기술은 망건의 재료인 말총, 사람의 머리카락 등으로 망건을 짜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만드는 과정은 망건 아랫부분에 좁고 두꺼운 띠(편자)를 짜는 '편자짜기'와 앞·뒤를 뜨는 '바닥뜨기', 굵은 말총으로 코를 만들어 줄을 거는 '당 걸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만들어진 망건은 헝클어지지 않도록 삶아서 모양을 고정하고, 명주천으로 감싸 관자 등을 달아 완성한다.
전 씨는 국가무형유산 '망건장' 이수자로, 어릴 적부터 할머니인 고(故) 이수여 명예보유자와 현재 망건장 보유자인 어머니 강전향 씨의 망건 제작 모습을 일상처럼 보고 자랐다.
1987년 할머니가 망건장 보유자로 인정되면서 전 씨도 정식으로 기능을 전수받기 시작했고, 2009년 보유자로 인정된 어머니에게도 가르침을 받아 총 37년간 기술을 연마했다.
현재 국가무형유산 '망건장'은 보유자 1명, 전승교육사 1명이며, 이번에 보유자가 추가 인정됨에 따라 향후 전승 현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