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비 냄새’ 유발하는 토양 미생물 발견…특허 출원

뉴시스

입력 2024.08.20 12:02

수정 2024.08.20 12:02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2-메틸이소보르네올 생산 미생물 발굴
[세종=뉴시스] 2-메틸이소보르네올을 생산하는 미생물 현미경 사진. (사진=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2-메틸이소보르네올을 생산하는 미생물 현미경 사진. (사진=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비 냄새'를 일으키는 물질을 만들어내는 토양 미생물이 환경 당국에 의해 발견됐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비 냄새' 원인 물질인 ‘2-메틸이소보르네올’을 생산하는 ‘노스톡 속(屬)’의 남조류를 발견하고 관련 균주를 배양할 수 있는 특허를 지난달 출원했다고 20일 밝혔다.

자원관은 2022년부터 섬 지역 토양 남조류 연구를 시작해 목포시 소재 고하도의 토양에서 ‘2-메틸이소보르네올’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발굴했다.

남조류 유래 물질인 2-메틸이소보르네올은 비가 내릴 때 맡을 수 있는 냄새나 흙냄새를 일으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다.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나 특유의 냄새로 불쾌감을 줄 수 있어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돼있다.


그러나 유럽 등에서는 자연의 냄새를 모사한 향수의 원료로 활용되는 등 산업적인 활용 가치가 높아지고 있고 최근 국내 연구진들에 의해 이 냄새가 집중력 향상 등 두뇌 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자원관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한 섬토양 미생물이 2-메틸이소보르네올을 생산하는 '노스톡 속' 균주임을 검증하고 해당 균주의 배양 방법을 개발해 지난달에 특허를 출원했다.


류태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장은 "향수 원료 등 국가 생물산업 활성화를 위해 2-메틸이소보르네올이 뇌건강 기능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추가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