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단체는 "김형미 관장의 우려대로 발포명령자와 암매장 등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용서와 화해 행사'를 한 것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이지 못한 처사였다"며 "행사 폐기 후 광주시민과 시민사회에도 사죄드리겠다"고 밝혔다.
김형미 관장은 "만시지탄(시기에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이나 사과해주니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다시는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지 않아야겠다는 재발방지를 위한 약속과 다짐 의미로 받아드리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일부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은 당시 집행부와 현행 집행부가 다르다는 점, 이사회에서 김 관장에 대한 사과가 협의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과의 '진정성'을 지적했다.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오월어머니집 등 시민단체가 공법단체 주최의 '특전사회와 함께하는 행사'에 대해 비판적인 성명을 내놓자 지난해 2월 17일 김 관장 폄훼 기자회견을 진행한 바 있다.
두 단체는 "김 관장은 개인의 사적 감정으로 5·18진상규명의 첫발을 딛고자 하는 행사를 파행으로 치닫게 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5·18과 사회적 갈등이 해소되면, 본인의 위치가 좁아지고 오월어머니집의 존재·명분이 없어질 것이라는 불안 때문에 그러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또 2020년 5월 전 대통령 노태우씨의 아들 노재헌씨와 오월어머니집이 만났던 것을 지적하면서 "광주학살 원흉 노태우는 '진정한 사과'가 있었냐. 아들 노재헌에게 90도로 인사를 하며 만난 것은 무엇이냐. 진정한 사과도 없었는데 아들 노재헌은 누구의 승낙을 받고 민주묘지에 참배했냐"고 비판했다.
두 단체는 11일 오전 11시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이번 논란의 발단인 대한민국특전사회와의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선포식' 폐기 선언을 진행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