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렐킨 "이번 가을 국가두마에 법안 초안 제출"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 러시아 의회가 선거운동 중 인공지능(AI)을 활용하지 못하도록 고려해야 한다는 논의를 시작했다.
RT에 따르면 복수의 러시아 국가두마(하원) 의원은 9일(현지시각) 선거운동 중 AI 생성 콘텐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
하원 정보정책위원회 부의장인 안톤 고렐킨 의원은 "이번 가을에 법안 초안을 제출할 수 있다"고 입법예고 했다.
고렐킨 의원은 "오늘 우리는 딥페이크가 무엇인지, 어떤 종류의 딥페이크가 있는지를 비롯해 기본적인 정의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라며 "현재 최고의 법률 전문가가 이를 조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선거운동 중 AI 사용을 완전히 금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 "내무부가 AI 사용을 악화 요소로 인정하는 형법 개정안을 연구 중이다. 이와 유사한 법안을 선거법과 통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허위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AI 심층 학습을 이용해 생성한 이미지, 영상, 음성인 딥페이크 불법 합성물 문제는 선거의 해로 불리는 올해 세계적으로 특히 주목받고 있다.
올해 초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구글을 비롯한 여러 기술 기업은 AI 콘텐츠 오용이 선거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딥페이크를 미리 탐지해 대응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1월 미국 뉴햄프셔주에서는 예비 경선을 앞두고 민주당 당원에게 투표 거부를 독려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전화가 걸려 왔다는 소식이 2만여 명에게 유포됐다. 이는 딥페이크로 제작된 허위 영상물이었다.
이 밖에도 지난해 11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등장해 저속한 성적 발언을 하는 AI로 제작된 가짜 영상물이 유포됐다. 딥페이크 기술 발전에 맞물려 허위 영상물 제작·유포가 계속해 보고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ddingdo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