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21일 "청년들의 사회 진출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면 결혼·출산 연령도 낮아져 초저출생 추세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높여 인구절벽이 초래할 노동력 부족 시대에 적응하는 대응책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주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사회학회와 함께 '청년층 조기 사회진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인구전략 포럼에서 "'황금티켓 증후군(Golden ticket syndrome)'으로 불리는 좋은 일자리를 향한 치열한 경쟁 등으로 청년들의 사회진출이 늦어지면서 결혼·출산 시점도 늦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주 부위원장은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청년 눈높이에 맞는 좋은 일자리 창출 △인력 미스매치 문제 해결 △고졸 취업 활성화 세 가지 측면을 강조했다.
그는 좋은 일자리와 관련해선 "많은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규제 완화, R&D·교육투자 확대 등을 통해 첨단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혁신해야 한다"며 "최근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의 채용 관행 변화로 사회초년생들에게 좋은 일자리 취업 문이 더욱 좁아진 만큼 정부와 경제계는 사회초년생들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인력 미스매치' 해소와 관련해선 "중소기업 취업이 청년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확충하고, 청년들이 사회 진출에 앞서 기업들이 요구하는 직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산업 수요에 맞는 교육·훈련 제공, 대학-기업 간 산학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졸 취업 활성화에 대해선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안착과 체계적인 경력 개발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선취업-후진학 지원, 군입대에 따른 경력 단절 예방 등 다각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포럼의 첫 발제자인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청년들의 사회 진출 지연 원인으로 △높은 대학 진학률 △경제·주거 독립이 늦은 사회문화적 특성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 세 가지 측면을 제시했다.
해결 방안으로는 고졸 취업 유인 제고를 위한 지원 강화, 고용장려금 사업의 운영 실효성 제고, 노동시장 취약 청년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강화,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을 제시했다.
이상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정기 공채 감소와 수시 채용 증가 등 채용 방식 변화로 청년 세대가 좋은 일자리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축소되고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며 "사회초년생들의 숙련 형성을 위한 교육·훈련 지원을 확대하고, 기업들이 장기적 투자의 관점에서 사회초년생들에게 양질의 일자리 기회와 경험을 지속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인센티브 확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