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이스트소프트,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 정식 출시

뉴시스

입력 2024.12.10 09:27

수정 2024.12.10 09:27

자사 LLM 기술력과 포털 자회사 검색 역량 집약 '앨런'으로 국내외 AI 검색 시장에서 영향력 강화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 화면 이미지 (사진=이스트소프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 화면 이미지 (사진=이스트소프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이스트소프트는 인공지능(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을 정식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은 AI 에이전트(AI 비서)를 표방한다. 이스트소프트가 고도화해 온 대화형 거대언어모델(LLM) 서비스와 자회사 이스트에이드가 포털 줌에서 10여 년간 쌓아온 검색 노하우를 결합해 탄생했다.

따라서 앨런의 경쟁력은 검색창 입력 정보의 맥락을 정확히 읽어 내도록 훈련된 LLM과 포털 검색 패턴 데이터에 기반해 출처가 명확한 다량의 고품질 정보를 찾는 강화된 검색 엔진에서 나온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앨런은 검색 AI를 '언어 에이전트'로 정의하고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확하고 다양한 검색 결과를 정리해 빠르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LLM이 방대한 지식을 습득해 답변을 생성하는 것과 달리 검색 엔진처럼 사용자에게 필요한 좋은 문서를 찾는데 집중한다.

특히 다양한 검색 환경에서도 정확한 검색 목적 파악 및 질문 유도를 위해 복수의 LLM을 앨런에 탑재했는데, 여기에는 GPT와 같은 글로벌 범용 모델과 함께 '오픈 Ko-LLM 리더보드'에서 글로벌 3위, 국내 1위를 기록한 이스트소프트의 자체 LLM 기술도 활용했다.

이 때문에 앨런은 국내외 정보를 폭넓게 탐색하고 더욱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한국어에 특화된 자체 LLM 기술은 국내 환경에서의 독특한 표현과 밈(meme: 인터넷 유행어)을 잘 파악하며, LLM들과 연동된 다국어 자동 검색 기능은 세계 곳곳의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게 다양한 언어로 정보를 검색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앞으로 이스트소프트는 검색이라는 본질적인 기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앨런으로 퍼플렉시티, 서치GPT와 본격적으로 경쟁하며 국내외 AI 검색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현재 AI 검색 엔진 서비스 앨런은 PC, 웹,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누구나 일정량을 무료로 이용해 볼 수 있다.


정상원 이스트소프트 대표는 "문제 해결을 위해 좋은 품질의 정보를 찾는 검색의 본질에 집중한 AI 검색 엔진 서비스가 바로 앨런"이라며 "AI로 확장될 검색의 미래를 앨런으로 새롭게 정의해 나가며 국내외 AI 검색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