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서울청사 앞 기자회견…"尹 교육정책 거부"
참교육학부모회, 1만2720명 '내년 도입 거부' 서명
교육감들에도 거부 요구…국회엔 제동 법안 촉구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윤석열 정부의 교육 정책인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 교과서) 사용과 채택을 거부하겠다고 10일 밝혔다.
전교조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윤석열표 교육정책을 전면 거부하는 첫 행보로 '공교육 파탄 AI 교과서 거부' 교사 선언을 발표한다"고 했다.
이들은 "교사 1만5225명과 함께 내란 수괴 윤석열의 즉각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한 데 이어 윤석열의 공교육 파탄 정책을 전면 거부할 예정"이라며 "법령에 따라 국민으로부터 교육 성업을 받은 교사로서 국민을 위협한 내란 수괴의 지시를 거부하겠다는 의지"라고 밝혔다.
전교조는 선언문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미래교육을 책임지는 교육자로서 교육 현장을 망가뜨리고 교육 재정을 파탄 내는 'AI 교과서 전면 도입'을 수용할 수 없다"며 AI 교과서 사용과 채택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에는 AI 교과서 도입 중단을 요구했고, 국회에는 AI 교과서 사업 제동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교육감들에게도 AI 교과서를 거부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참학)도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8일까지 벌인 'AI 교과서 거부 학부모 선언'에 대한 서명 운동에 1만2720명이 참여했다고 전했다.
이 중 8291명(65.2%)은 초등학생 학부모였고, 이어 유아·대학생 학부모 2085명(16.4%), 중학생 학부모 1758명(13.8%), 고등학생 학부모 586명(4.6%)였다.
참학은 "내년 3월부터 해당 학년 학생들은 교사의 수업 준비, 교실의 디지털 환경 점검, 개인정보의 보호 등 모든 것이 미흡한 상태에서 수업을 받아야 한다"며, "혼란과 시행 착오를 겪게 될 피해자는 학생과 학부모들이고 교육부가 '테스트 시기'라고 가볍게 넘길 내년은 당사자들에겐 일생에 한 번 뿐인 초3~4, 중1, 고1"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육부는 내년 AI 교과서 도입 시기를 늦추고 전면 재검토하라"며 "학생들을 실험 대상으로 삼는 2025년 AI 교과서 전면 도입을 거부한다"고 요구했다.
AI 교과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쓰는 교과서로 학생 개인의 학습 이력을 진단해 수준에 맞는 학습 경로를 제공하고 교사의 수업 설계를 지원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지난달 말 첫 검정 심사를 통과한 초등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수학·영어·정보 AI 교과서가 학교별 채택 절차를 거쳐 내년 3월 도입될 예정이다.
전교조 등은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 사태 전부터 AI 교과서 전면 도입을 반대해 왔다. AI 교과서가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과의존을 부추기고 개인정보 침해와 학교 내 디지털 인프라 부족에 따른 부실 운영을 우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