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회장 후보자 합동설명회 개최
"감옥가야 한다면 그길 기꺼이 가"
"의료개혁 중단"·"증원·포고령 책임"
"필수의료 수가지불 완전히 바꿀것"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대한의사협회 회장선거에 출마한 최안나(오른쪽 첫번째)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제43대 대한의사협회 회장선거 후보자합동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10. jini@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4/12/10/202412101630146384_l.jpg)
제43대 의협 회장 선거 후보자 합동 설명회가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의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열렸다.
김택우 강원도의사회장(전국시도의사회장협의회장)은 정견 발표를 통해 "정부는 의료의 본질을 외면하고 오직 정권의 논리에 따라 추진한 거대 정원 모집 확대를 지금 당장 중단해야 한다"면서 "한번 시작한 의료 붕괴는 도미노처럼 국민 생명을 위협하고 회복하기 어려운 국가적 재앙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주수호 미래의료포럼 대표(의협 전 회장)는 "정부의 근거도 없는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갑자기 추진되면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미래를 던졌다"면서 "의협회장에 당선되면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약 회장이 감옥을 가야 한다면 명예롭게 생각하고 그 길을 기꺼이 가겠다"고 밝혔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1년간 눈보라를 맞아가며 전공의 의대생들과 함께 시청 앞에서 지난주 54차 의료농단 규탄 투쟁을 했고 서슬퍼런 윤석열 정권을 상대로 수없이 얻어 맞고 피멍이 들어가면서 의료 정상화를 위해 출퇴근길 피켓을 들고 싸웠다"면서 "가장 잘 싸울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최안나 의협 기획이사 겸 대변인은 "미친 비상계엄은 2월 대통령이 내지른 의대 증원 2000명으로부터 시작됐다"면서 "정부가 날린 수많은 어음들을 모두 현금으로 받아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수세적으로 밀려오는 법안 막는데 그쳐선 안된다"면서 "의협으로 뭉쳐야 정부를 바꿀 수 있고, 당장 치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의협 회장 선거 후보자들은 정부의 필수·지역의료 대책, 의대정원 정책 등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의료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복안을 묻는 질의에 대해서도 의료개혁 중단, 의대 증원 및 전공의 처단 명시 포고령 작성자 책임자 처벌 등을 촉구하며 정부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김 회장은 "정부가 현안과 정책을 반드시 의료계와 제대로 논의해야 하는데, 이런 원칙이 지켜지지 않고 정부 정책이 나오면 저항의 선봉에 제가 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료계의 대표는 의협으로, 원칙을 세우고 직역을 아우르는 요구안을 만들어 낼 것"이라면서 "전공의와 의대생의 뜻을 존중하고 전 직역을 하나로 모아서 합리적인 대안을 먼저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대한의사협회 회장선거에 출마한 최안나(오른쪽 첫번째)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제43대 대한의사협회 회장선거 후보자합동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10. jini@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4/12/10/202412101630170643_l.jpg)
주 대표는 "의대 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지역·필수 의료 문제의 출발점은 동일하다"면서 "획일적·강제적 건강보험 제도로 의료가 왜곡됐기 때문"이라면서 '요양기관 당연지정제(모든 의료기관이 국민건강보험 가입 환자를 진료하고 국가가 정한 의료수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 폐지 추진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잘못된 의료 제도가 누적되다 보니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의료계의 일치된 의견을 사회에 어떻게 제대로 전달하고 정치권, 정부가 알도록 만들어 해결할 것이냐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역·필수의료는 불을 끄는 소방서 같은 역할을 하는데, 국가가 인프라 구축 비용을 지불한 적이 있느냐"면서 "의사의 근무 환경이나 희생에 비례하는 적절한 보상 없이 희생과 사명감만 강조한 것이 지역·필수의료 붕괴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처럼 소신껏 지원할 수 있도록 열악한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수가 지불 방법을 완전히 바꾸겠다"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2020년 의정 합의를 깨고 정부가 지난 2월 의대 증원 2000명을 발표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의협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하고, 책임자에 대한 합당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공의 처단 문구가 들어간 계엄사령부 포고령 작성자를 공개하고 모든 책임을 지도록 해야 현안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특별시의사회는 오는 21일 의협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제43대 의협 회장 후보자 토론회'를 개최한다. 전국 14만 의사 회원들이 의료 현안 및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후보자들의 정책적 소신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의협 제43대 회장 보궐선거 1차 투표는 내년 1월2~4일 전자투표 방식으로 실시된다. 1차 투표 결과 과반을 얻은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득표율 1·2위를 기록한 후보 2명을 대상으로 결선 투표가 1월7~8일 진행된다. 당선인은 8일 개표를 통해 확정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