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기자수첩]45년만의 비상계엄…"계엄 겪은 세대가 될 줄이야"

뉴시스

입력 2024.12.11 10:06

수정 2024.12.19 16:21

(출처=뉴시스/NEWSIS)
(출처=뉴시스/NEWSIS)


[서울=뉴시스]정금민 기자 = 지난 3일 밤 대한민국의 시계가 45년 전으로 돌아갔다. 독재의 유물로만 여겨졌던 비상계엄이 한밤중에 느닷없이 선포된 탓이다. 믿기 힘든 현실을 두고 당직자는 물론 국회의원까지 "비상계엄의 동기를 이해하기 어렵다", "계엄을 겪은 세대가 될 줄 몰랐다", "평온한 일상을 빼앗겼다"는 반응을 내놨다.

계엄 시나리오는 지난 8월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수석 최고위원의 입을 통해 처음 나왔다. 김 최고위원은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을 국방부 장관에 내정했을 당시 계엄 가능성을 제기하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 대비한 계엄령 빌드업 불장난을 포기하라"고 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한 달 후 여야 대표 회담을 통해 "최근 계엄 얘기가 자꾸 나온다. 종전에 만든 계엄(문건)을 보면 계엄 선포와 동시에 국회의원을 체포·구금하겠다는 계획을 꾸몄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거들었다.

이 때까지만 해도 기자들 사이에서는 계엄을 괴담 수준으로 치부하는 분위기가 컸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사석에서 "계엄설 제기는 정치적 행위"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런데 설마했던 계엄령 선포가 결국 현실이 됐다.

윤 대통령이 한밤중 일으킨 비상계엄 사태는 약 6시간 만에 일단락 됐지만 한국 정치사에는 큰 상처를 남겼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후 해제되기까지 국회 상공을 나는 헬기, 무장 군인의 국회 본청 진입 장면이 여과없이 국민들에게 전달됐다. 불행 중 다행으로 계엄의 목표는 실패했지만 국민들은 공포에 떨어야 했다.

계엄이 일어난 지 일주일이 지났다. 하지만 그 여파는 현재진행형이다. 외국인은 국내 투자 자금을 회수하고 있고 시민들은 강추위 속에도 장외로 나와 윤 대통령의 탄핵을 외치고 있다. 이 모습을 지켜보는 전 세계는 대한민국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시간이 많지 않다.
계엄 사태에 대한 책임은 대통령이 져야 한다. 윤 대통령은 법적·정치적 책임을 질 수 있는 현명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국민의힘 역시 국민들을 불안하게 하는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방안을 빨리 내놓아야 할 때다.

☞공감언론 뉴시스 happy7269@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