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시도 경계 넘어도 긴급차량 우선 신호로 신속 출동 가능해진다

연합뉴스

입력 2024.12.31 10:46

수정 2024.12.31 10:46

한국도로교통공단, 시스템 표준규격 제정…출동 시간 40% 단축
시도 경계 넘어도 긴급차량 우선 신호로 신속 출동 가능해진다
한국도로교통공단, 시스템 표준규격 제정…출동 시간 40% 단축

광역 중앙제어방식 긴급차량 우선시스템 표준규격 (출처=연합뉴스)
광역 중앙제어방식 긴급차량 우선시스템 표준규격 (출처=연합뉴스)

(원주=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소방차와 구급차 등 긴급차량이 시도 등 지역 경계를 넘더라도 광역 신호제어로 우선 신호를 받고 신속한 출동이 가능해졌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공단이 개발하고 제안한 '광역 중앙제어방식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표준규격'이 경찰청 교통안전심의위원회에서 제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이 표준규격은 긴급차량이 지역 간 단절 없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소방차·구급차 등 긴급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때 신호 운영을 제어해 통행우선권을 부여하는 기법이다.

공단은 신호 운영 구성, 정보처리절차, 연계방식 등 지자체별 시스템 운영방식의 규격을 통일했다.


지역 내에서만 작동하던 한계를 극복하고 권역이 넘어가더라도 중앙제어방식으로 우선 신호가 작동하도록 관계기관과 지자체의 협조를 받아 개발했다.

광역긴급차량 우선신호 서비스, 지역 간 출동 시에도 우선신호 확보 (출처=연합뉴스)
광역긴급차량 우선신호 서비스, 지역 간 출동 시에도 우선신호 확보 (출처=연합뉴스)

긴급차량 단말기와 교차로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광역출동체계를 지원한다.

또 지역 간 호환성을 확보해 대규모 합동 출동이 가능해져 출동 시간을 약 40%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표준규격 제정은 경찰청, 과학치안진흥센터,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이 지원하는 자율주행기술 개발혁신사업으로 진행됐다.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과 한국도로교통공단,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빌드, 네오트래픽, 울산테크노파크, 케이에이알 등 8개 공동기관이 추진했다.


김희중 한국도로교통공단 이사장은 "공단이 개발한 표준 규격으로 긴급차량이 지역 단절 없이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며 "국민 생명 보호와 공공 안전을 위해 표준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limb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