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제 1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를 열고 반도체 등 11개 주요 업종별 산업전망과 통상대응 등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산업부 장관 주재 ‘민관합동 실물경제 비상 전략회의’의 후속이다. 민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로 반도체 등 11개 주요 업종의 협회들이 참석했다.
올해 우리 실물경제는 주력품목의 수출여건 악화와 경쟁국의 시장잠식·기술추격에 더해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 신행정부 출범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산업부는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출·외국인투자 상승모멘텀 유지, 주력산업의 위기극복 등을 올해 중점 추진과제로 제시했고 이날 협의회에서는 올 한해 정부와 민간이 원팀이 돼 업종별로 중점 수행할 역할을 점검했다.
이날 협의회에서 업종협회는 미국 신행정부 정책 등 주요 통상이슈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통상기능 역량을 강화해 예상되는 관세·비관세 정책 등에 전략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정부와 함께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강구하는 한편 수출활력 유지를 위해 마케팅·인증 등 지원 수단을 총동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민관이 협업해야 대내외 불확실성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다. 이럴 때일수록 민관의 소통과 협력이 중요하다"며 "미국 신행정부 출범과 관련해 민간의 가용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정부와 공동 대응해달라"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