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8만1808명→2024년 12월 99만9858명
창원시, 각종 지원 사업으로 청년 인구 유입 추진
2010년 창원, 마산, 진해를 합쳐 인구 108만명의 도시가 된 통합창원시로 출범한 지 14년 만에 100만명 선이 깨진 것이다.
10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창원시의 주민등록인구는 99만9858명으로, 1년 새 9180명(0.9%) 감소했다.
2010년 통합 당시 108만1808명이었던 창원시 인구는 2011년 109만188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13년 만에 9만2023명이 줄어들었다. 2010년 통합 이후 한 해 평균 6021명이 줄어든 셈이다.
다만 특례시 기준 인구는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과 동포 수를 더한 것으로, 외국인·동포(2만1336명)를 포함한 창원시 인구는 지난달 기준 102만1194명으로 특례시 지위는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추세라면 외국인과 동포를 포함한 인구 수도 2027년 상반기에는 100만 아래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창원시는 인구 감소의 주요 요인에 대해 청년인구 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창원의 청년 인구는 최근 10년(2014~2024년)간 32만1963명에서 23만2800명으로 8만9163명(27.6%)이나 줄어들었다.
월세와 신혼부부 주택 구매·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등으로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대학·기업과 협력해 양질의 교육·일자리 기회도 늘려 나갈 계획이다.
지역 대학의 글로컬대학 전환과 의대·약대·로스쿨 등 학과 개설을 추진하고 소프트웨어나 스마트 항만·물류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혁신 인재도 양성할 구상이다.
각종 구직활동 지원과 청년 내일통장과 모다드림 청년통장 사업 등 청년자산 형성을 지원하고, 전입 청년 이사비용 지원, 스포츠 패스, 누비자 이용료 제공, 청년 문화예술복합공간인 스펀지파크 공연·행사 기획·확대 등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인구 100만명이 깨진 것을 우려스럽게 보고 있다"면서 "창원시만으로 인구 감소를 방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창원을 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 일자리, 주거, 문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강화해 장기적으로 인구 반전을 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gk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