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평균기온 14.5도…열대야 15.9일, 평년의 2.9배
1973년 이래 처음으로 2월 강수량이 8월보다도 많아
해수면온도 최근 10년 평균(17.3도)보다 1.3도 높아
[대구=뉴시스] 이상제 기자 = 대구와 경상북도의 지난 2024년이 기상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1973년 이래 가장 더운 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방기상청은 10일 지난해 기온과 강수량 등 특성에 대한 2024년 연 기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대구·경북 연평균기온은 14.5도로 평년(12.6도) 대비 1.9도 높았다. 종전 1위를 기록했던 2023년(13.7도)보다도 0.8도 높아 기상관측망이 전국적으로 확충된 1973년 이후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월 평균기온 역시 모두 평년보다 높았고, 4개 달(4·6·8·9월)에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여름철 고온이 이례적으로 9월까지 이어지며 9월 기온은 24.1도, 평년 대비 편차는 +4.0도로 열두 달 중 가장 큰 편차를 보였다.
열대야가 9월까지 이어지면서 연간 열대야 일수는 역대 가장 많은 15.9일로 평년(5.5일) 대비 약 2.9배에 달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기온을 높인 주요 기후학적 요인으로는 높은 해수면온도, 티베트고기압, 북태평양고기압 등 고기압의 발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북인도양에서도 해수면온도가 높았다. 이 해역에서 활발히 상승한 공기는 대류권 상부(고도 약 12㎞)에 티베트고기압을 발달시켰고, 이 고기압이 우리나라까지 확장하거나 우리나라 동쪽에 고기압을 유도했다.
지난해 연 강수량은 1121.0㎜로 평년(1038.4㎜~1275.0㎜)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시기별로 강수량 경향은 평년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비가 적게 오는 시기인 2월 강수량은 평년(28.7㎜) 대비 283.7% 수준인 82.9㎜를 기록하며 역대 세 번째로 많았다. 비가 많이 내리는 시기인 8월 강수량은 평년(241.1㎜) 대비 26.8% 수준인 65.5㎜로 역대 두 번째로 적었다.
1973년 이래 처음으로 2월 강수량이 8월 강수량보다 많았다. 지난해 8월은 우리나라까지 확장한 티베트고기압(고도 약 12㎞ 상공)뿐 아니라 북태평양고기압(고도 약 5.5㎞ 상공)까지 우리나라 상공을 동시에 덮으면서 고기압권에서 비가 적게 내렸다. 2월에는 우리나라 동쪽에서 발달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다습한 남풍이 불며 비가 잦았다.
장마철 동안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된 다량의 수증기와 절리저기압에 동반된 찬 공기가 정체전선 주변에서 충돌하며 대기 불안정이 강화됐고, 중규모 저기압까지 발달시키며 더욱 강한 비가 내렸다.
2024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온도는 18.6도로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17.3도)보다 1.3도 높았다. 최근 10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9월 해수면온도(27.4도)는 최근 10년 평균(24.2도)보다 3.2도 높아 다른 달에 비해 편차가 가장 컸다.
함동주 대구지방기상청장은 "2024년 대구·경북의 연평균기온은 역대 1위를 경신했고, 기록적인 열대야와 집중호우 등 다양한 형태의 이상기후로 국민이 많은 불편과 피해를 겪었다"며 "기상청은 이러한 기후위기 시대에 기상재해로부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기후변화의 과학적 원인 분석과 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i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