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강원 임금체불 건수 3년째 증가세…작년 11월 기준 463억

뉴스1

입력 2025.01.11 08:05

수정 2025.01.11 08:05

2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4년 1~11월 누적 임금체불액은 1조 8659억 원이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2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4년 1~11월 누적 임금체불액은 1조 8659억 원이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강원=뉴스1) 한귀섭 기자 = 설 명절(29일)을 앞두고 내수 침체 등으로 강원 지역의 임금체불액이 3년째 증가하고 있다.

11일 고용노동부 강원지청 등에 따르면 강원도내에서 발생한 임금체불액은 지난 2020년 363억 원, 2021년 290억 원, 2022년 292억 원, 2023년 425억 원, 그리고 작년 11월 기준 463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고용부 강원지청은 이번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 체불 예방과 청산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강원지청은 근로자들이 임금체불 피해를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전용 창구를 운영하기로 했다.

강원지청은 또 지역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건설 현장 및 대규모 민간 건설 현장 대표와 발주자를 대상으로 명절 전 기성금을 조기 집행하도록 안내 공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강원지청은 특히 지급 능력이 있음에도 임금을 체불하거나 재산을 은닉하는 등의 악의적 체불사업주에 대해선 강제수사로 엄정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강원지청은 체불근로자 생계지원을 위해 체불사업주 융자제도를 활용해 자발적 청산을 유도하기로 했다.

김홍섭 강원지청장은 "설 연휴를 앞두고 모든 근로자가 걱정 없이 귀성길에 나서야 한다"며 "강원지청이 앞장서서 임금체불을 예방하고 생활 안정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단법인 직장갑질119가 지난해 12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38.4%가 임금체불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피해자는 이후 어떻게 대응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회사를 그만뒀다'(25.1%), '모른 척했다'(16.8%)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또 '한국 사회에 임금체불이 심각하다'는 응답자 비율은 69.9%였고, 그 이유에 대해선 '임금체불 사업주가 제대로 처벌되지 않아서'란 응답이 65.7%로 가장 많았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