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품질 난자에 '엘-카르니틴' 처리
암소 스트레스 줄여 희소 한우 보존 기여
![[밀양=뉴시스] 밀양의 한 한우농가 사육장. (사진=밀양시 제공) 2025.02.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23/202502231110541100_l.jpg)
연구진은 2~3등급에 해당하는 한우 난자를 성숙하는 과정에서 '엘-카르니틴' 성분을 처리한 결과, 체외수정란 생산율이 해당 성분 미처리 대조구보다 1.8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세포 수에 있어서도 이 성분 처리군에서 생산한 체외수정란과 1등급 난자로 생산한 체외수정란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저품질 난자의 체외수정란 발달 비율을 높여 생체 내 난자채취 횟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난자를 제공하는 암소인 희소 한우 공란우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에서 사육하는 희소 한우 개체 수는 칡소 약 2200마리이며, 백우는 20여 마리에 불과하다. 이에 개체군 확대가 시급하다.
소의 임신기간(280일)을 고려할 때 자연 번식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개체 수가 극히 적은 백우는 안정적인 개체군 유지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립축산과학원은 생체 내 난자채취 기술과 체외수정란 배양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인 가축 유전자원 보존과 개체군 확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한국산학기술학회'에 게재됐다. 또한 희소한우 개체군 확대를 위한 체외수정란 배양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만희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장은 "체외수정란 배양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희소 한우의 개체군을 안정적으로 증식하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다양한 가축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보존·활용하고, 지속 가능한 한우 산업 발전과 생물다양성 유지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 농촌진흥청은 희소 한우의 체외수정란 생산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자료는 희소 한우 모습. (자료=농진청 제공) 2025.02.2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23/202502231110556798_l.jpg)
☞공감언론 뉴시스 light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