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이 영업비용 중 8.5%…국내 기업 중 9위
14년째 동결된 철도운임에 영업적자 가중 상황
![[서울=뉴시스] 코레일은 지난 24일 대전사옥에서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추진현황을 점검하기 위한 ‘전기에너지 자립 및 절감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2025.02.25. (사진=코레일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25/202502251432143980_l.jpg)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오는 2030년부터 열차 운행용 전기요금을 지난해 대비 25% 절감을 목표로 대응책을 고심에 나섰다.
코레일은 지난 24일 대전 본사에서 ‘전기에너지 자립 및 로드맵 보고회’를 열고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종합계획’ 추진현황을 점검했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코레일이 보유한 1만4000량(열차 칸) 중 디젤 230량을 제외한 대부분을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코레일의 전력사용량은 국내 기업 중 9위(2023년 기준)로 전기요금이 영업비용 중 8.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코레일은 매년 인상되는 전기요금과 전체 노선 중 85%까지 확대된 전기전용 선로에 반해, 14년째 동결된 철도운임으로 영업적자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대응책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코레일은 전기요금을 점진적으로 줄여 2030년부터는 2024년 대비 25% 적은 1400억원을 매년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자구책으로 열차 동력용 전기를 절약한다는 방침이다.
운전방법에 따라 전력소비량을 12% 줄일 수 있는 자체 연구를 통해 ▲운전자보조시스템(Driver Advisory System) 마련 ▲최대수요 전력 제한 ▲에너지 절약 차량설계 등의 방안을 추진한다.
또한 철도의 공공성을 고려해 교육용처럼 할인 적용된 ‘전기철도용 전기요금종별 신설’을 위해 산업자원부와 한국전력 등과 협의할 계획이다.
이성형 코레일 전기본부장은 “국내 공기업 중 전력사용이 가장 많은 만큼 전기에너지 운송효율 향상 방안을 찾아 경영부담을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ani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