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권진영 박혜연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이 종료된 이튿날, 시민단체들이 잇따라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공지능(AI)를 활용해 탄핵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시민단체 '전진하는 민주주의 VALID'는 26일 오전 서울 마포구 공덕소공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시민 2459명의 의견서를 전날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AI 기술을 이용해 탄핵 촉구 의견서 자동 생성 서비스를 기획하고, 지난 1월 22일부터 한 달간 시민들의 의견을 수집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서비스를 개발한 박지원 씨는 "민주주의는 다양성을 갖기 때문에 단순히 동일하게 제한된 하나의 템플릿이 아닌, 다채로운 형태의 의견서를 만들고자 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시민, 특히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분들까지 자신의 목소리를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들을 계속 만들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캠페인에는 총 2459명이 참여했다.
'내가 원하는 미래' 상으로는 "여성·성소수자·장애인·이주민·지역혐오와 차별 없는 세상'과 '비극적 사회적 참사와 재난이 반복되지 않는 세상'이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양소희 VALID 공동대표는 "윤석열은 헌재 최후진술에서조차 단 한 번의 사과 없이 비호에 급급했고 극우 지지자들을 부추기며 갈등과 혼란으로 몰아넣을 선동적 언어만 연거푸 배설했다"며 "마땅한 처벌과 책임이 있기를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날 시민단체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진행된 탄핵 심판 변론 과정을 평가하며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비상행동 공동의장인 윤복남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회장은 "비상계엄을 통해 군대를 동원해 국회와 국민들에게 총부리를 겨눈 것이 합헌적이라고 판단받는다면, 다시 대통령이 된 윤석열은 제2, 제3의 계엄을 통해 이제는 노골적인 독재 정부를 꾀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이 나라를 구하기 위해서는 엄중한 결단을 내려서 무너진 헌정질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상행동은 의견서에서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헌법과 법률상 절차와 요건이 지켜지지 않았고 △포고령 1호 내용은 노동3권 및 집회·결사의 자유, 표현·사상의 자유, 언론출판의 자유를 침해했으며 △근거 없는 '중국 간첩' 주장으로 광범위한 인종 차별을 조장했고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함으로써 대의민주주의 자체를 공격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