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화학물질안전원, 11개 시민단체와 화학안전 협력 다짐

뉴스1

입력 2025.02.26 12:03

수정 2025.02.26 12:03

한 화학회사 직원들이 사업장 내 안전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 News1 최동현 기자
한 화학회사 직원들이 사업장 내 안전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 News1 최동현 기자


(인천=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27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11개 시민사회단체와 '화학안전 지역협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2만 5000명의 회원을 보유한 환경운동연합 등 11개 단체 회원 8만 7000명이 참여한다. 시민사회단체는 지역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에 협력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지역의 화학사고 대비 체계 구축을 지원하고, 주민의 알권리 강화를 위해 추진됐다.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르면 지자체는 관할 지역의 화학물질 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하지만 2024년 10월 기준으로 전국 243개 지자체 중 150곳이 전문가 부족 등의 이유로 위원회를 구성하지 못한 상태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시민사회단체와 협력해 △위원회 운영 지원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 △화학물질 안전정책 수립 지원 △시민 참여 확대 및 홍보·교육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는 전남과 전북에서 지역 주민 및 시민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화학안전 지역 아카데미’를 시범 운영한 후,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조성옥 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공동대표는 "화학물질 안전은 주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정부·지자체·산업계와 협력해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 협약을 바탕으로 지자체별 실정에 맞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