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후 비트코인은 7% 넘게 하락했다.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당시 10만6000달러를 돌파했던 비트코인은 ‘트럼프 관세 쇼크’로 지난 8일 7만6000달러까지 급락했다.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친가상자산 정책에도 비트코인이 하락한 배경에는 경제·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자자들이 거시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위험자산인 비트코인부터 팔아치웠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게다가 미국 정부의 가상자산 정책의 명확성도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의 전략 비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당장 추가 매입은 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게 대표적이다.
NH투자증권 홍성욱 연구원은 “시장의 관심은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매입 여부 및 규모였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불분명한 입장을 보였다”며 “특히 신규 매입에 대해 예산을 증가시키지 않을 전략을 모색하라고 했기 때문에 사실상 대량 매입은 없을 것이라고 시장은 해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프 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비축하겠다고 한 것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달러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중장기 해법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됐다. 김종승 엑스크립톤 대표는 “미국의 재정적자와 경상수지 적자의 해법은 관세가 아니라 통화에 있다”며 “비트코인 전략 준비자산과 스테이블코인 정책 추진은 기축통화 체제 균열에 대응하려는 시도”라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육성 기조는 달러 지배력 강화는 물론 미 국채의 신규 수요 창출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포필러스 변주웅 프로덕트매니저(PM)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쌓아올린 막대한 국채 보유량은 미 정부의 부채 자금 조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는 단기적으로 미국 재정 운영에 도움이 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달러 중심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서 발행사들은 막대한 규모의 담보금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를 주로 미 국채와 관련 자산에 투자해 국채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