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수도권 '패닉바잉'… 집주인들 "새정부 규제 전 처분" 심란

전민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23 18:13

수정 2025.06.23 18:13

5월 서울 주택 매수심리 131.5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전 수준
한달만에 매수심리 빠르게 회복
정부'규제 확대 가능성'에 고심
#.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한 아파트를 소유 중인 A씨는 그간 거래해 온 공인중개사들에게 지난주 수 차례 전화를 받고 고심에 빠졌다. 성수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 지역으로 묶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자, 중개인들이 '규제 전 빠른 처분'을 권하면서다. A씨는 "지금이 기회일 것 같다며 값을 올려서 팔면 어떻겠냐고 한다"며 "매물을 올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 하루에도 계속 마음이 바뀐다"고 말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내에서 토허구역이나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의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성수와 마포구, 동작구 흑석동과 '준강남'으로 불리는 과천, 분당 등 올해 들어 집값 상승세가 가파른 지역이 규제 대상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에 소유주들은 우려 속에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마포구 아파트 소유주 B씨는 "올해 초 어렵사리 새로운 세입자를 구했는데 갑자기 묶이면 실거주 의무도 생기고 난감해진다"며 "값이 비싸다고 해서 특정 지역을 사면 투기라고 못 박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지금 아니면 집을 못살 것 같다는 불안심리로 인한 '패닉 바잉'(공포에 의한 매수)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흑석동 소재 공인중개사 C씨는 "얼마전까지 집도 안보고, 말하자면 패닉 상태로 집을 사겠다는 사람도 있었다"며 "흑석동이 성수동 못지 않게 불장이어서 성동구에서는 성수만, 동작구에서는 흑석만 핀셋 규제를 받게 되지 않을까 싶다"고 우려했다.

다만 시장에 지나치게 큰 영향을 줄 만한 규제를 하루아침에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는 신중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 이춘석 경제2분과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가격 급등 현상에 대해 "일시적인 대책은 수립하지 않을 것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면서다.

실제 규제 지역 지정의 효과는 단기적·제한적이라는 시각이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매수심리는 131.5로,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전이었던 3월(136.1) 수준으로 회복했다.
지난 4월 매수심리는 120.5로 떨어졌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고개를 든 양상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셋째 주(16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36% 오르며 20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오세훈 서울시장도 (지난 11일) 집값 상승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지만, 토허제를 사용하지 않는 게 제일 바람직하다고도 말했다"며 "토허제나 규제의 '약발'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을 정부도 인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