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표절·재산·병역 '청문 정국' 2라운드…7월 국회 강대강 대치

뉴스1

입력 2025.07.06 11:37

수정 2025.07.06 11:37

우원식 국회의장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상정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있다. 2025.7.3/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상정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에 불참해 자리가 비어있다. 2025.7.3/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이종배 위원장(왼쪽)과 더불어민주당 김현 간사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인사청문회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6.25/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이종배 위원장(왼쪽)과 더불어민주당 김현 간사가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인사청문회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6.25/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본회의가 열린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에 불참한 뒤 규탄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7.3/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본회의가 열린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에 불참한 뒤 규탄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7.3/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박재하 기자 =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정국이 이달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김민석 국무총리 국회 인준을 놓고 이미 한바탕 강력히 충돌했던 여야는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청문 정국 '2라운드'에서도 한치의 물러남 없이 대치할 전망이다.

여당은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빠른 통과를 목표로 두었지만, 야당은 '송곳 검증'을 벼르며 전투태세에 돌입하는 모양새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확정된 인사청문회 날짜는 △14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15일 김성환 환경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16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재까지 19개 부처 중 17개 장관 후보자 지명을 마쳤으며, 유임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제외한 다른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이달 줄줄이 열릴 전망이다.



與, '빠른 통과' 목표로 비호 태세

여야는 이들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 검증에서도 김 총리 인준 당시 보였던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국민의힘은 김 총리의 재산 형성 의혹과 자료 제출 등을 문제 삼으며 청문회 보이콧에 나섰지만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의혹이 충분히 소명됐다며 국회 본회의에서 단독으로 인준 표결에 나선 바 있다.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의 원활한 국정운영에 빠른 내각 구성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어 이번 청문 정국에서도 신속한 통과를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당 안팎에서는 이번 초대 내각 구성에 다수 포진된 현역 의원들의 경우 재산이나 경력 등 의혹은 이미 총선에서 검증된 만큼 청문회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무엇보다 이번에 청문회를 담당하는 상임위원회 12개 모두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한 데다 이 중 7개의 위원장 모두 여당 의원이 차지하고 있어 국민의힘이 민주당의 엄호를 뚫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민주당이 청문 정국 내내 국민의힘의 공세를 무력화하며 인사청문회를 단독으로 끌고 갈 경우, '거대 여당'으로서 협치를 저버리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해 역풍이 불 가능성도 제기된다.

'송곳 검증' 벼르는 국민의힘

국민의힘은 맹탕으로 끝난 김 총리 인사청문회를 발판 삼아 '송곳 검증'을 예고하며 이미 각 후보자에 대한 의혹 제기에 나선 상태다.

야당은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논문 중복 게재와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며 "연구 윤리 파괴자"라고 규정해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이해충돌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외에도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겹치기 근무' 의혹과 한정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편법 증여 의혹,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의 부실 복무 의혹 등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다만 각종 의혹이 제기됐던 김 총리 인사청문회에서도 김 총리가 증인이나 자료 제출 없이 여당의 비호 속에 검증대를 통과했던 만큼 이번에도 '확실한 한 방'이 없다면 야당이 청문 정국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