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AFP통신과 일본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한 TV 토크쇼에서 "우리는 쉽게 타협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협상이) 시간이 걸리고 어려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경제의 최대 투자국인 일본은 다른 나라들과는 다르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무엇이 불공평한가? 어떻게 불공평한가? 우리는 미국의 모든 주장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동맹국이지만, 우리가 해야 할 말을 해야 한다. 우리는 세계 최대 투자국이자 (미국에서) 가장 큰 일자리를 창출하는 국가다. 우리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며칠 앞두고 나왔다. 오는 9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로 부과한 상호관세의 90일 유예가 끝나는 날이다.
일본은 미국과 여러 차례 협상을 해왔지만, 자동차 관세 등을 두고 평행선을 달렸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일본과 협상을 진행했는데, 성사될지 확신하지 못한다. 일본은 매우 강경하다"면서 일본 관세율을 30%나 35%로 높일 수 있다고 위협했다. 트럼프는 "그들은 정말로 버릇이 나쁘다고 해야 한다. 30~40년간 우리를 속여왔기 때문에 정말로 협상하기 어렵다"는, 일본 입장에서는 모욕적인 말까지 했다.
이시바 총리는 6일 또 다른 TV 프로그램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에 어떻게 대처할 계획인지 묻는 말에 "모든 상황에 대처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원론적으로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4일 10~12국에 새로운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7일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일본이 이 서한을 받는 나라에 포함된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이었다.
다소 강경한 여당의 입장과는 달리 야당들은 미국과 '타협하라'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 입헌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대표는 전화를 포함한 정상 간 회담을 가져 달라고 촉구했다. 강경일변도로는 국익을 지키기 어려우니 어떻게든 대화하라는 의미다. 그는 "무역 상대국으로서 미국은 너무 리스크가 크다는 전제하에 무역 다변화를 진행해야 한다"라고도 주장했다.
공명당 사이토 테츠오 대표는 향후 협상에 따라 새로운 경제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관세 협상이 실패하거나 장기화할 경우 국내 경제에 충격이 올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한 것으로 이 역시 현실적으로 타협해야 하지 않겠냐는 압박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