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 퇴직연금,수익률은 기대이하

      2010.02.16 06:25   수정 : 2010.02.15 20:24기사원문
퇴직연금 수익률이 자산운용에 대한 지나친 규제와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대한 선호로 시장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퇴직연금에 대한 규제 완화와 함께 사업자와 가입자들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1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 대기업의 신규 가입이 늘면서 적립 규모 14조원을 넘어서는 등 퇴직연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올 연말까지 퇴직신탁 및 퇴직보험제도가 폐지되고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하지만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퇴직연금시장의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률은 아직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정희수 수석연구원은 "지난 2008년 평균 3.3%의 수익률을 보이던 퇴직연금은 지난해 2배 상승한 6.7%까지 상승했지만 코스피 상승률인 49.7%와 5%대 후반인 회사채 수익률(AA-, 3년)과 비교해 보면 퇴직연금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분석했다.


시장에서는 퇴직연금 수익률이 낮은 원인으로 제도유형별 운영 방식이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원금보장형 상품 투자 및 권역별 주력 상품에 대한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점 등을 꼽고 있다.

현재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노후자금이라는 중요성 때문에 안정적 운용에 초점을 맞춰 자산 운용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확정기여(DC)형의 경우 주식 편입비중인 높은 자산에 투자를 전면 금지하고 있고 확정급여(DB)형도 주식 및 주식형 펀드의 투자 비중 30% 이내, 혼합형 펀드 및 고위험 채권펀드의 투자 비중이 40% 이내로 제한되어 있다. 퇴직연금 사업자들은 끊임없이 주식 투자 비중을 높여줄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07년 69%였던 원리금보장형 상품 비중은 2009년 86%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말 퇴직연금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리금보장형 상품 비중이 적었던 증권사들마저 안정성을 중시하면서 수익률 하락을 부추겼다.

실제 원리금보장형 상품의 비중이 축소된 DC형의 경우 수익률이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원리금보장형 상품 비중이 증가한 DB형은 수익률이 소폭 개선됐을 뿐이다.

여기에 85.8%에 이르는 은행의 예적금과 금리 확정형 상품 비중이 91.0%나 되는 보험사들처럼 퇴직연금 주력 상품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점도 수익률을 낮추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주식 등 위험자산의 편입 비중이 높다. 또 가입자들은 경제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용하며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있다.


정 연구원은 "퇴직연금 수익률을 제고하기 위해 적립금의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입자들이 운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투자 대상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며 "가입자들도 퇴직연금 자산의 적립보다 운용에 관심을 더 가져야 하며 사업자들은 수익률 제고를 위해 다양한 투자대상을 편입시키는 등 분산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it8129@fnnews.com 노현섭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