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구조혁신펀드 아직 출범도 못했다

      2018.05.03 17:06   수정 : 2018.05.04 16:01기사원문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 1조원 규모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상반기에 조성한다는 계획에 적신호가 켜졌다.

당초 3월 말까지 기관들의 출자 승인을 받기로 했지만, 5월 초 현재 미승인 기관이 3곳이나 된다. GP(운용사) 공고 이후 선정까지 한 달 정도는 필요한 것을 고려하면 빨라도 펀드 결성이 하반기는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기업구조혁신펀드 조성을 위해 기관들의 출자 확약을 받고 있지만, 5월 초 현재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KEB하나은행이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

당초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은 △산업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7개 은행으로부터 각각 350억원, 수출입은행으로부터 50억원을 출자 확약 받아 2500억원의 펀드 출자자금을 마련하고,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캠코로부터 2500억원을 출자 확약받아 5000억원의 자금을 마련키로 했다. 나머지 5000억원을 선정된 GP를 통해 민간에서 유치받아 1조원을 마련하는 구조다.


산업은행은 GM, STX조선 사태 등으로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대출자자인 앵커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으로 출자 승인할 것으로 전해졌다.

수출입은행은 내부 프로세스 문제를 거론하고 있지만, 이사회에도 아직 올리지 않은 상태로 확인됐다. 구조혁신펀드에 출자해도 수출입은행의 여신 중 대상기업이 적어 실익이 적다는 판단도 지연의 이유로 알려졌다. 게다가 출자 관련 기획재정부의 승인도 받아야 하는 만큼 펀드 조성을 지연케 하는 주된 문제로 꼽힌다.

KEB하나은행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출자 승인을 미루고 있다. 내부 절차상 다른 출자기관의 행보를 보며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결권이 경영협의회에 있는 만큼 최종 투자계획서를 받은 후 승인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4월 초 수출입은행의 내부규정 변경으로 투자계약서가 변경된 것도 이런 판단에 한몫했다. 다만 타행의 경우 경영협의회보다 상위 개념인 이사회에서 출자에 대한 승인이 이뤄졌다.

특히 KEB하나은행은 최근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의거한 채권은행의 공동 워크아웃 관련 철강 등 업체에서 반대매수청구권을 행사해 채권단에서 빠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타행과 KEB하나은행간 의사결정의 차이가 있다”며 “법률검토 등 출자 승인을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고 말했다.

반면 펀드의 딜소싱(거래공급), 민간자본 유치, 운용 등을 책임지는 GP(운용사) 경쟁은 치열하다. 공동 GP 연합군에는 NH PE-오퍼스PE, 우리 PE-큐캐피탈파트너스가 이름을 올렸다.
또 각 각 GP 후보들은 모펀드 출자기관으로부터 조건부 출자확약서를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정부와 민간에서 자금을 받은 자 펀드 운용사가 채권 금융기관이 보유한 부실기업 채권 .주식 등을 사들인 후 이익을 남기기 위해 사업 재편 .비용 감축 등 기업 정상화를 추진한다.


모 펀드는 한국성장금융이 운용하고 자펀드는 민간 사모펀드(PEF)가 운용해 중견 이하 부실 징후 기업에 투자하는 구조다.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