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작은 돈 1000원… 아프리카에선 생명을 구할 수 있어요"

      2018.11.15 17:04   수정 : 2018.11.15 18:12기사원문



"아기가/섬마섬마/일어서다가 넘어진다/넘어졌다가/일어선다/다시 넘어진다/오늘은 이토록 진지한 날…"(고은 '아기에 대하여' 중에서)

아이가 처음 홀로 서는 것만으로도 그날 하루는 금세 '진지한 날'이 돼버린다.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쑥쑥 큰다. 매 순간이 놓칠 수 없이 소중한 이유다.

김소은 서울여성의원 원장(52·사진)도 늦둥이 딸 아이의 매 순간을 빠짐없이 함께하고 싶었다. 하지만 '의사를 보는 게 평생 소원'이라는 아프리카 사람들의 절박함이 눈에 밟혔다. 그렇게 김 원장은 돌을 맞은 딸 아이를 뒤로 하고 처음 아프리카로 향했다.
그때만 해도 김 원장은 자신이 10년째 아프리카행 비행기를 타게 될 줄 몰랐다고 했다.

김 원장은 1년에 한번, 여름에만 쉰다. 지난 2008년 이후 매년 의료봉사를 위해 여름휴가를 썼으니, 김 원장은 10년째 쉬지 못한 셈이다. 그 역시도 지칠 때가 있다. 매년 여름이 돌아오면 '이번에는 그냥 쉴까' 하는 생각이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게다가 갈 때마다 수천만원은 우습게 든다. 비행기 값이며 약, 진료 장비 등 준비할 게 많아서다. 하지만 바로 앞 순서에서 진료가 끝나 아쉬워하던 얼굴들이 떠오른다. "꼭 다시 오겠다"며 손가락을 건 뒤 돌려보낸 환자들이다. 김 원장은 "아무래도 이 일을 그만둘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제가 의사라는 게 처음으로 기뻤어요"

김 원장에게 아프리카는 말라리아, 황열병, 장티푸스 등 온갖 병이 득실대는 위험한 곳에 불과했다. 그런 그가 아프리카 의료봉사를 시작하게 된 건 한 학생의 아프리카 봉사 후기를 듣고 나서다. 그 학생은 다니던 대학교를 그만두고 나이트클럽에서 일하며 소위 '깡패'처럼 살았다. 길에서 아프리카 봉사 프로그램을 소개하던 대학생들이 그를 보고 움찔 피할 정도였다. 우연한 마주침은 그 학생을 아프리카로 이끌었다. 그리고 그의 삶은 완전히 달라졌다. 김 원장은 "봉사를 통해서 새 삶을 사는 신비한 변화를 나도 느끼고 싶었다"고 했다.

첫 의료봉사는 가나의 한 빈민촌에서 했다. 의료봉사 초보였던 김 원장은 현지에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을 줄은 상상도 못했다. 타이레놀 시럽병 하나와 아스피린 몇 개만 들고 간 그였다. 김 원장은 "맨발로 3~4시간 동안 걸어서 왔다는 사람들이 구름떼처럼 몰렸는데 나는 준비가 하나도 안 된 상태였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 원장은 환자들에게 진단을 해주며 약을 가져오지 못해 미안하다고 했다. 그러자 환자들은 "내 평생의 소원은 의사를 한번 만나보고라도 죽는 것이었다"며 김 원장을 되레 위로했다.

김 원장은 말했다. "적당히 누릴려고 의사가 됐어요. 돈도 많이 벌고 좋은 일도 할 수 있으니까. 그런데 의사생활을 오래 하다 보니 마음이 황폐했어요. 웬만한 일에는 울지도 않았죠. 다른 사람들한테 의사를 하라고 자신 있게 권하지도 못했어요. 그런데 아프리카에서 처음 느꼈어요. 의사가 됐다는 게 정말 기쁜 일이었구나. 누군가가 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는 건 정말 행복한 일이더라고요. 약을 받지 못해도 의사를 봤다는 사실만으로 그 사람들은 희망을 가졌어요."

■"머리카락보다 얇은 주사바늘이 안 들어가요"

지금은 상황이 많이 좋아졌지만 김 원장이 의료봉사를 시작했을 때의 아프리카는 참 열악했다. 온 가족이 에이즈에 걸려 다 함께 죽음을 기다리는 광경도 여럿 봤다. 영양실조로 인한 탈수현상으로 김 원장을 찾은 어린아이들을 볼 때면 마음이 찢어지는 듯했다. 그 가운데서도 김 원장은 토고에서 만난 '안토니오'라는 환자가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태어난 지 3~4개월 무렵이었던 안토니오는 심각한 영양실조 때문에 생명이 위독한 상태였다.

"링겔 하나만 꽂으면 살릴 수 있는데 혈관이 안 보이는 거예요. 20번이나 찔렀는데 안토니오는 울지도 않아요. 울 기력도 없고 아픔도 못 느끼는 거죠. 탈수가 되면 감각이 없으니까요. 발등에 있는 혈관을 겨우 찾았는데 주사바늘이 안 들어가더라고요. 머리카락보다 가는 24게이지의 주삿바늘이었는데도요. 겨우 찔러넣어 살렸어요. 그때만 생각하면 정말 아찔해요."

한번은 진료 도중 살기를 느낀 적도 있단다. 2010년 말라위 빈민촌에서 있었던 일이다. 한 낡은 교회를 빌려 진료를 보는 와중에 강도행위를 하려는 조짐이 포착됐다. 김 원장은 "사람들이 너무 굶주리니까 살기가 느껴졌다"며 "약이 필요한 게 아니라 밥, 달러가 필요한 사람들이었다"고 회상했다. 봉사팀은 허겁지겁 짐을 챙겨 나와야 했다. 이 일로 빈민촌보다는 중심가 위주에서 봉사활동을 했다. 김 원장은 걸을 기력이 없어 찾아올 수도 없는 빈민촌 환자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팠다.

김 원장은 매년 가는 아프리카에서 늘 배운다고 했다. 김 원장에 따르면 아프리카 난민들의 월평균 생활비는 300원이다. 1000원짜리 말라리아 약은 그들에게 세 달치 생활비와 맞먹는 엄청난 금액이다. 김 원장은 "한국에서는 1000원은 가치가 없다시피 한 돈인데 그들에겐 약을 사고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돈"이라며 느끼는 바가 많다고 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환자들은 봉사자들에게 옥수수가루라도 주려고 한단다.

■"아프리카에서 받은 사랑 나눠줄래요"

김 원장은 아프리카에서 배운 사랑과 행복을 주변에 나눠주고 싶다고 했다. 가장 가까이는 김 원장을 찾는 환자들에게다. 그는 "아프리카 난민들이 먹지 못하고 죽을병에 걸려서 힘들어 한다면, 한국 사람들은 어떤 관념 속에서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며 "어머니가 되는 일이 위대하다는 것을 본인 스스로 깨우치고 행복하게 여길 수 있게끔 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아프리카 봉사활동이 없었다면 이런 생각도 못했을 거란다.

지역사회 청소년들에게도 꿈을 심어주고 있다. "저는 청소년들에게 '배추벌레는 노력해서 나비가 되는 게 아니다'라고 꼭 말해줍니다. 배추벌레는 시간이 지나면 어느덧 나비가 돼 창공을 날아요. 의사같은 경우 워낙 되기가 힘드니까 시작도 해보기 전에 지레 겁먹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전 그들에게 현재의 나를 보지 말고 이미 꿈을 이룬 나를 상상해보라고 해요." 그가 이야기했다. 그는 일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나 학업에 대해서 상담해주는 등 멘토 역할도 하고 있다.

김 원장은 앞으로도 꾸준히 아프리카에 갈 예정이다. 김 원장은 당당히 말했다.
"앞으로 죽을 때까지 계속 아프리카를 갈 거예요. 단 한명이라도 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면요. 의료봉사가 아니었다면 제 삶은 아마도 이렇게까지 풍요롭지 못했을 거예요."

김 원장은 아프리카 의료봉사 및 도서벽지 무료진료 등을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달 31일 한국여성단체협의회(회장 최금숙)가 수여하는 '용신봉사상'을 받았다. ktop@fnnews.com 권승현 기자사진=박범준 기자

■'우리 함께' 주인공을 찾습니다

나눔을 통해 세상을 더욱 따뜻하게 하고,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전하는 이들의 감동적인 사연을 찾습니다.
파이낸셜뉴스는 더 많은 사람들이 아름다운 이야기의 주인공들과 만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e메일wetogether@fnnews.com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