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남행열차'로 베트남행…귀국도 열차 여행?

      2019.02.26 11:06   수정 : 2019.02.26 11:06기사원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특별열차편으로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하고 있다. 2019.2.26/뉴스1 © News1 성동훈 기자

열차로 중국 들러 시진핑 회동 가능성
피로도 감안했을 때 항공기 이용할 확률도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역사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특별열차를 이용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귀국편에는 어떤 이동수단을 이용할지 관심을 끈다.

지난 23일 평양을 떠난 김 위원장은 26일 오전 10시10분께 중국과 베트남의 접경 지역에 위치한 동당역에 도착했다.

평양을 출발한지 약 사흘 만이자 4000km 이상의 장도를 거친 결과다.

김 위원장은 이후 베트남 정부의 환영 행사 이후 차량을 이용해 하노이로 향했다.

전용기인 '참매 1호'를 이용하면 4시간이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굳이 열차로 이동한 점을 놓고 이동할 때부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기 위함과 함께 우호적인 북중 관계를 미국에 과시하려는 의도라는 관측이 나왔다.


앞서 김일성 주석 역시 1958년 1차 베트남 방문 때 중국까지 열차를 통해 이동한 바 있는 만큼 북한 주민들에게 김 주석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할아버지의 후광을 최대한 활용 하려 한 것으로도 판단된다.

이후 관심을 끄는 부분은 귀국할 때도 처음과 마찬가지 방식을 택할지 여부다. 일각에선 김 위원장이 귀국길에 베이징에 들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북미회담의 기대감이 높아지던 지난달 전격적으로 방중해 시 주석과 회담을 가졌었는데 북미회담 직후에도 만나 결과를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만약 이 관측이 맞아떨어진다면 김 위원장은 귀국길에도 열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평양에서 베트남으로 갈 때는 베이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귀국 시에는 베이징에 들러 이동 기간 중 경호 등 호의를 베풀어준 중국측에 감사의 뜻을 표할 가능성도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김 위원장은 열차를 이용해 베트남 방문 후 귀국하는 길에 베이징에 들러 제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시진핑 주석에게 직접 설명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신의 비핵화 협상 의지를 다시 한 번 시 주석에게 강조하면서 중국의 대북 경제·군사 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를 통해 중국과의 우의를 대외적으로 다시 한 번 과시하면서 대외적 선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귀국 시 상하이를 거치면서 중국의 개혁개방 성과를 직접 확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평양과 하노이 간 직항 노선이 없기 때문에 의전 담당자들이 김 위원장의 항공기 이용을 반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항공기를 이용한 김 위원장의 신변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관련 책임자는 강력한 문책을 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 본부장은 "안전을 책임진 북한 간부는 김 위원장에게 전용기를 이용한 신속한 이동이라는 편리성보다 안전을 위해 기차를 타고 장시간 이동하는 불편 감수를 권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다만 김 위원장이 이미 약 60시간의 장거리 여행을 한 상태임을 감안한다면 전용열차의 편의시설 상태와 무관하게 피로도가 상당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항공편 귀국이 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위원장이 중국을 거쳐 베트남으로 이동할 때 중국 당국은 인근에 교통통제를 하는 등 삼엄한 경호지원을 아끼지 않았는데 귀국할 때는 중국측의 수고를 덜어주는 측면에서도 항공편 이용을 예측할 수 있다.

중국측이 김 위원장의 이동까지 신경 쓴다면 귀국시 자국 항공기를 김 위원장에게 빌려주는 것도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 북미 회담 때에도 중국 민항기를 이용한 바 있다.

반대로 지난번 구겨진 체면을 만회하기 위해 이번에는 참매 1호를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북한은 이번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참매1호의 비행 범위에 있는 장소에서의 회담 개최를 강력하게 요구해온 것으로도 전해진다.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