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는 금융권 '로봇 자동화'...논란도 점증

      2019.06.03 18:03   수정 : 2019.06.03 23:37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최경식 기자]
금융권 업무에 자동화 시스템인 'RPA' 도입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이를 두고 업무 효율성과 비용절감 효과가 증대된다는 긍정적 의견이 있는 반면 일부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과 기술적 한계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 등 역효과가 우려된다는 부정적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들은 디지털 혁신의 일환으로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적극 시행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은 가계여신, 카드 등 45개 업무에 RPA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고, 머신러닝 기반 기업여신 자동심사를 도입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은 지역 본부 내에 디지털 워크포스 운영을 총괄하는 RPA 컨트롤룸을 구축, 24시간 운영 중이다.

한 지방은행의 경우 시범적용 업무 6개 부서, 9개 업무를 선정해 순차적으로 적용해 나가고, 이후 전행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RPA 적용 업무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지방은행은 자사 혁신센터에 RPA 룸을 만들어 퇴직연금 지급처리 자동화, 지자체 이차 보전금 청구 자동화, 휴·폐업관리 업무 자동화 등을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은행들의 RPA 도입과 관련한 논란도 발생하고 있다. 우선 RPA 도입으로 인해 업무 효율성 및 비용절감 효과 등이 크다는 긍정적 의견이 있다.

한 시중은행의 경우 RPA 업무 범위 확대를 통해 연 누적 8만 업무 시간에 대한 자동화를 구축, 이에 따라 연간 약 32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며 "이를 통해 직원들이 보다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한 편에선 자동화 시스템 도입 확산으로 인력 구조조정 및 일자리 감소가 발생하고, 초기 자동화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으로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부정적 의견도 있다.

특히 금융사들이 RPA를 비용절감 목적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중장기적으로 단순·반복 업무를 하는 직원들에 대한 구조조정은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공지능(AI)과 결합한 RPA가 점차 그 기술이 진화할 경우 앞으로 6년 이내엔 은행이 고도로 전문화된 정규 인력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술적인 한계로 오히려 추가 비용이 적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았기 때문인지 고객들의 다양화된 문서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데이터 기입란이 불일치하는 등 원인불명의 오류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매입·매출 정보와 수출입 서류를 직접 ERP에 등록하는 것보다 RPA에 지시하는 것이 더 불편하고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결국 업무 분석 실패로 담당자의 지속적인 개입과 장애요인을 바로잡기 위한 추가 비용 등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 RPA 도입 초기 단계라 이것이 갖는 다양한 영향들을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며 "(금융사들은) 기존 업무 프로세스를 전면 재검토해 RPA 도입에 최적화된 업무를 선정, 기술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제기되는 인력 문제에 대한 우려도 불식시키는 RPA 중장기 활용 로드맵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schoi@fnnews.com 최경식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