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도 친환경, '배슬라' 시대 온다

      2020.12.23 13:15   수정 : 2020.12.23 14:53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2030년까지 친환경 선박 전환을 통해 기존 유류 선박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70% 줄이고, 3000t의 미세먼지를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친환경 전기차 시대를 연 미국의 테슬라처럼 세계선박 수주 1위 역량을 바탕으로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도하는 '배슬라'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자원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7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친환경선박 기술개발 및 보급 촉진 방향을 제시한 '제1차 친환경선박 기본계획(10년)'을 확정했다.



EU 등 세계 각국에서 이르면 2040년 내연차 공식 퇴출을 선언한 것처럼 선박업계도 친환경 전환이 불가피하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내년 1월부터 선박 연료 황 함유량을 기존 3.5%에서 0.5%로 강화하고, EU도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현재 수송 부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황의 약 90%가 해상 운송에서 발생하며, 1척의 크루즈 선박은 하루 100만대 자동차가 배출하는 공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친환경 선박 기술을 선도해 기존 유류 선박보다 온실가스 감축을 70% 줄이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해수부와 산업부는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 기술 개발 사업'에 9500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곧 시행한다. 주로 수입산인 액화천연가스(LNG) 기술과 제품 국산화→혼합연료 등 저탄소 선박→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선박 전환을 순차 추진한다. 현재 LNG선에 사용되는 선박 기자재는 주로 일본, 프랑스, 미국, 노르웨이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박준영 해양수산부 차관은 "LNG 추진 선박은 (기존선박 대비) 미세먼지 90%,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15% 정도 된다"며 "현재 LNG선박 국산화율이 70% 정도 되는데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사업에 포함해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예타 등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린뉴딜·2050 탄소중립 정책 목표와 연계해 한국형 친환경선박 육성 사업을 '2030 그린쉽-K 추진전략'이라 명명했다.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소형 연안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먼저 전환하고, 기술성·경제성이 검증되면 대형선박까지 확산할 계획이다. 2022년 LNG 벙커링 전용선, 2025년 LNG-암모니아 혼합연료 추진선박 등 친환경 선박 10척 이상을 시범으로 건조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대상 선박 3542척 중 약 15%에 해당하는 528척은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 먼저 공공부문의 경우 노후관공선(199척) 대체 건조, 10년 미만 선박(189척) 미세먼지 저감장치(DPF)를 설치하는 등 2030년까지 388척(전체의 83%)을 친환경으로 전환한다. 민간부문의 경우 2030년까지 내항선박(58척), 외항선박(82척) 등 총 140척(전체의 20%)를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한다.

해수부는 528척의 친환경선박 전환에 2030년까지 4조9000억원의 매출, 11조원의 생산유발 효과, 4만여 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부산(1조5000억원), 전남(1조2000억원), 울산(1조원), 경남(4000억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LGN, 전기 등 친환경 연료 공급 인프라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LNG벙커링 선박 운영, 육상 터미널 구축 등 LNG 연료 공급 수단을 다변화 한다.
이를 통해 LNG공급을 현재 25만t에서 2030년까지 140t으로 확대한다.

해수부는 이번 기본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1조3000억원의 환경개선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박 차관은 "친환경선박 전환을 통해 약 40만t의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된다"며 "미세먼지도 기존 저감 대책(25년까지 7500t)에 추가로 3000t의 저감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