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분할해 지주사로… 대주주 지배권 강화가 숙제
2021.04.14 18:19
수정 : 2021.04.14 21:23기사원문
지난 2018년 무산됐던 지배구조 개편작업을 3년 만에 재추진하는 것으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의 지분 승계도 자연스럽게 병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모비스, 지주사와 사업회사 분리
14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에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지만 상당수가 현대모비스를 분할해 사실상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리하는 방안이 골자로 제시된다.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구조와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현대제철→모비스'로 형성된 순환출자구조의 최상단에 모비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아와 현대제철이 보유한 모비스 지분만 해결하면 큰 그림에서 순환출자구조는 해결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지배권을 어떻게 강화할 것이냐가 숙제다.
정 회장이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은 0.32%로 지배권을 행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018년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를 인적분할해 투자회사(지주사)와 사업회사로 나누고, 사업회사를 글로비스와 합병하는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분할되는 사업회사의 가치평가 논란으로 백지화됐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에는 현대모비스의 인적분할 방안이 기본적으로 깔린다.
유력 시나리오 중 하나는 현대모비스를 인적분할하고, 지주회사가 기아와 현대제철이 보유한 모비스 지분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이어 정의선 회장이 계열사 지분 현물출자 등을 통해 현대모비스 지주회사의 지분을 취득해 최대주주로 올라서는 구조다. 이 과정에서 정 회장이 현대글로비스의 지분 일부를 매각해 현대모비스 지주회사의 지분취득 자금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현대모비스 지주회사 밑으로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사업회사, 현대글로비스가 자회사로 들어가게 되고 손자회사로 기아와 현대제철이 들어오게 된다.
2018년 발표한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보완하는 방법도 있다. 당시에는 지주회사는 존속하고 사업회사는 비상장 상태에서 상장사인 현대글로비스와 합병하는 시나리오였지만 이번에는 사업회사 역시 상장을 해 논란을 불식시키는 방식이다. 이후 현대모비스 지주회사와 현대글로비스가 주식교환으로 지주회사 체제를 완성하게 된다. 이 같은 계획은 과거와 같은 논란을 피할 수 있지만 적지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아울러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를 각각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하고 지주회사는 지주회사끼리, 사업회사는 사업회사끼리 합병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합병 후 공개매수를 통해 정 회장의 지분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 경우 기아와 현대제철은 손자회사가 아닌 자회사로 편입된다.
■실탄 쌓는 정의선, 어디에 사용할까
현대차그룹은 2018년 지배구조 개편 무산 이후 합병, 상장, 인수합병 등에서 분주하게 움직였다.
2019년 상장한 그룹의 IT계열사 현대오토에버는 지난해 현대차그룹 SW계열사 현대엠엔소프트, 현대오트론을 합병해 몸값을 다시 띄웠다. 공모가 4만8000원이었던 현대오토에버의 주가는 14일 종가기준 12만1000원으로 치솟았고, 지분 7.33%(201만주)를 보유한 정의선 회장의 평가액은 2432억원으로 훌쩍 뛰었다.
현대엔지니어링 상장은 지분 11.72%를 보유한 정 회장에게 또 다른 기회다. 장외시장 시가총액이 7조5000억원에 달하는 현대엔지니어링은 예상 기업가치가 10조원에 달해 상장 후 정 회장의 지분평가액은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대차그룹 지배구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지분은 아니지만 실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 인수에 활용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 명예회장의 현대모비스 지분은 7.11%(677만8966주)로 이날 종가기준 평가액이 2조1014억원에 달한다. 과세 표준액이 3억원을 초과할 경우는 27.5%의 양도세율이 적용돼 양도세만 5780억원 가까이 내야 한다. 여기에 정 명예회장이 보유한 다른 계열사 지분을 넘겨 받는 데 1조원가량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cynical73@fnnews.com 김병덕 최종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