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논란에도 중저대역 5G 강행... 美이통사 결정에 항공업계 반발

      2022.01.03 18:16   수정 : 2022.01.03 18:32기사원문
미국 대형 이동 통신사들이 정부와 항공 업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달 5일(현지시간)부터 중저대역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항공 안전에 대한 걱정에 대해 서비스 출력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일 보도에서 미 이통사 순위 1~2위를 다투는 버라이즌과 AT&T가 5G 서비스를 연기하라는 미 교통부의 요청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버라이즌의 한스 베스트버그 최고경영자(CEO)와 AT&T의 존 스탄키 CEO가 연명으로 피트 부티지지 미 교통장관과 스티브 딕슨 미 연방항공청(FAA) 청장에 보낸 편지를 입수했다고 전했다.

두 경영자는 편지를 통해 앞서 프랑스 당국이 5G 서비스에 부과한 규제를 언급하고 일단 서비스를 시행한 뒤 앞으로 6개월 동안 프랑스의 규제에 맞게 서비스 출력을 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미 정부가 전파와 항공 안전의 관계를 좀 더 연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CEO들은 "만약 미 항공사들이 매일 프랑스로 운행하도록 허가를 받는다면 미국에서도 같은 조치가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동시에 프랑스를 비롯한 12개국이 중저대역 5G 서비스를 허용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20년 12월~2021년 1월에 걸쳐 5G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입찰을 진행했다. 당시 입찰 대상은 이른바 'C밴드'라고 불리는 3.7~4.2㎓(기가헤르츠)의 중저대역 주파수였다. 미 이통사들은 현재 28㎓ 등 초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5G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도달 거리가 짧아 보급에 한계를 겪고 있다.

버라이즌을 비롯한 주요 이통사들은 입찰에서 총 800억달러(약 95조원)를 사용했다.
버라이즌과 AT&T는 지난해 2월에 중저대역 주파수 사용 승인을 받고 같은 해 12월 5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항공 업계의 공격을 받았다. 보잉과 에어버스 등 항공기 제조사들은 해당 주파수 대역이 항공기 전파 고도계에 쓰이는 주파수 대역과 가깝고 신호 간섭이 일어나면 공항 이용이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에 미 교통부와 FAA 등은 지난달 31일 두 이통사에 편지를 보내 신호 간섭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최소 2주간 서비스 개시를 미뤄달라고 요청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