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무 ‘2배 급등’ 밥상물가 비상… 전기·가스료 인상도 뇌관

      2022.10.05 18:13   수정 : 2022.10.05 18:13기사원문
9월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석유류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전년동월 대비 5.6%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7월 6.3%로 정점을 찍은 후 두달 연속 상승세가 둔화됐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다만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 값과 외식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소비자물가 5%대 상승 '불안'

통계청은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 대비 5.6% 상승해 전달인 8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5.7%)보다 0.1%p 하락했다고 5일 밝혔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7월 6.3%로 정점을 기록한 후 두달 연속 상승세는 둔화됐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3.6%, 2월 3.7%, 3월 4.1%, 4월 4.8%, 5월 5.4%, 6월 6.0%로 상승세를 보였다.
7월에는 6.3%로 상승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았다.

배추·무 등 노지채소를 비롯한 채소류 가격 상승이 계속되며 농축수산물 가격이 8월 전년동월 대비 7.0%, 9월 6.2% 상승했다. 국제유가 하락세가 반영되며 석유류 상승폭은 8월 19.7%에서 9월 16.6%로 지속적으로 둔화됐다. 개인서비스는 성수기 종료에 따라 여가·숙박 등 외식 제외 서비스 중심으로 전월 대비 상방압력은 둔화됐지만 전년동월 대비 오름폭은 6.4%로 지속됐다.

■농산물값, 외식물가 강한 상승

5%대 중후반 물가에도 농산물 가격은 강한 상승세였다. 농산물 가격 역시 채소류(22.1%)를 중심으로 8.7% 올랐다.

특히 작황이 좋지 않았던 배추(95.0%)와 무(91.0%)가 큰 폭으로 올랐고, 파(34.6%)와 풋고추(47.3%) 등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축산물은 3.2%, 수산물은 4.5% 각각 올랐다.

개인서비스 요금도 오름세가 여전했다. 개인서비스료 상승률(6.4%)은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9.0%로 1992년 7월(9.0%) 이후 30년2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치킨(10.7%), 생선회(9.6%) 등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 관리비(5.4%) 등 외식 외 서비스도 4.5%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14.6% 상승하며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전월(15.7%)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5% 오르며 전월(6.8%)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5%로 전월(4.4%)보다 상승세를 키웠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4.1% 올라 전월(4.0%)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이는 2008년 12월(4.5%) 이후 최대다.

■전기 등 공공요금이 변수

물가 급등세는 일정 부분 잦아들었지만 5%대 후반의 고물가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공공요금 인상 등 물가를 압박할 요인도 많다. 정부 역시 10월에는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장해 온 '10월 물가정점론'도 물가상승을 부추길 '뇌관'들이 잇따르면서 낙관론이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물가를 끌어내린 주요 원인인 유가도 재상승 가능성이 있어서다. 실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협의체인 'OPEC플러스(+)'는 이날 오스트리아에서 회의를 갖고 감산을 논의한다.


물가가 7월에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을 묻는 말에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정점을 지났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면서도 "OPEC플러스의 감산 결정, 10월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 환율 등 상방요인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어 심의관은 "원유 감산결정 영향이 어떻게 작용할지를 좀 더 지켜봐야 하지만 최근 유가 흐름이 어느 정도 유지된다면 지금 의 상승률 수준에서 등락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10월 중 김장철 채소류의 수급안정을 위한 방안을 마련, 물가안정에 나선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