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투표 비율 놓고 친윤-비윤 수싸움… 국힘 뜨거운 '룰 전쟁'

      2022.12.13 18:29   수정 : 2022.12.13 18:29기사원문
내년 2월말, 3월초로 가닥이 잡힌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차기 지도부 선출에 당원과 국민 투표를 얼마만큼 반영할 지가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현행은 당원 투표 70%, 국민(여론조사) 30%를 반영하고 있는데 '당원 투표 비율을 높이자'는 주장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다만 전당대회 흥행과 민의(民意) 반영 차원에서 현행 방식을 유지하자는 의견도 있다.

당권 주자들도 현행 유지와 당원 투표비율 상향으로 의견이 갈리는 등 각자 이해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을 내고 있다.

13일 여권에 따르면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에서 '투표반영 비율' 관련 룰 개정이 최대 변수로 꼽힌다. 당 안팎에서는 7대 3이냐, 9대 1이냐, 혹은 제 3의 안이냐를 두고 벌써부터 백가쟁명식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당원 투표 비율을 현행보다 높이자는 의견이 다수 의견인 것으로 파악된다.

친윤계를 주축으로 당원 비율을 최대 100%까지 높이자는 의견도 나왔다.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9 대 1은 명분도 없고 너무 속이 보인다"라며 "괜히 9 대 1로 하면서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을지 말지 소모적 논쟁을 하기보다는 10 대 0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친윤계 재선' 김정재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우리 당원들의 마음이 담길 수 있도록 전당대회가 진행됐으면 하는 의견이 많다. 앞으로 룰을 정하는 심의위원회가 정해지면, 거기서 정해질 것"이라며 당원 투표 비율 상향에 힘을 실었다.

김종혁 비상대책위원 또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는 현재의 7:3은 당 대표를 뽑는 데 있어서 여론조사가 들어가는 것 자체가 불합리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당권 주자 중에서는 김기현 의원이 대표적으로 당원 투표 반영비율 상향에 찬동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 의원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원론적으로 당의 대표를 뽑는 것이기 때문에 당의 정체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그 방향으로 끌고 가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전당대회 흥행과 민의 반영의 측면에서 현행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는 소수 의견도 존재한다. TK 지역구 한 의원은 통화에서 "정당은 당원들의 모임이기도 하지만 헌법에서 정당제도를 명시하고, 엄청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한 헌법 정신을 봐야 한다"라며 "정당이 단순히 당원들의 것이 아니라 국민들 민의를 대표한다는 게 헌법 정당제도의 취지다.

당권 주자 중에서는 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이 현행 비율 유지에 무게를 싣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원 90%, 국민 10%으로의 룰 변경에 대해 "역선택 방지가 아닌 국민의힘 지지층 배제"라고 반박하며 "비당원 지지층을 배제한다는 말은 국민의힘 지지층을 배제한다는 얘기다. 1반 반장을 뽑는데 3반 아이들이 와서 해야 되겠느냐는 것이 적절치 않다"라고 주장했다.
유승민 전 의원 또한 룰 변경에 대해 "축구 경기 중에 골대를 옮기는 격"이라며 민의를 반영하는 현 방식이 적합하다는 취지로 주장해왔다.

김나경 정경수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